① 비대위 인선… 친박 배제, 절반은 외부인사로 채울 듯
② 노터치 공천… 대표시절 총선-지방선거 일절 관여안해
한나라당의 쇄신 논란이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19일 출범할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에 누가 참여할지 관심이다. 또 박 전 대표가 공언한 ‘정당 역사에서 가장 모범적인 공천 시스템’의 내용을 놓고도 당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비대위 참여할 외부 인사가 성패 좌우
비대위 인선은 박 전 대표의 첫 시험대다. 그만큼 개혁성과 신뢰, 소통 능력 등을 두루 갖춘 인사들로 채워야 한다. 비대위원은 박 전 대표를 포함해 9명가량으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래 당의 최고의결기구인 최고위원회의의 멤버도 9명이다. 비대위 멤버는 최대 15명까지 구성할 수 있으나 인원이 너무 많으면 혼란이 불가피하다. 실제 7·4전당대회를 앞두고 구성된 비대위의 경우 위원이 19명에 이르면서 내부 갈등이 적지 않았다.
박 전 대표 주변에서는 비대위원 중 절반은 국회의원으로, 절반은 외부 인사로 채운다는 얘기가 나온다. 평소 친박(친박근혜)계로 분류되는 인사는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원내 인사로는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홍정욱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두 사람 모두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데다 계파색이 없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는 정몽준 전 대표와 이재오 의원 등 당내 각 그룹의 수장을 비대위원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문제는 원내 인사보다는 외부 인사다. 2040세대에 어필할 수 있는 외부 인사를 얼마나 많이 영입하느냐가 비대위 체제의 성패를 좌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외부 인사는 박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에 정식 임명된 뒤 직접 영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당직 인선은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당 사무총장과 대변인, 여의도연구소장 등이 공석이다. 공석인 자리만 추가로 임명하거나 지금처럼 대행 체제가 유지될 수도 있다. ○ ‘노터치’가 박근혜 공천의 핵심
박 전 대표는 2004년 3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당 대표를 맡으면서 2004년 총선 비례대표와 2006년 지방선거 공천을 책임졌다. 이때 보여준 박 전 대표 공천의 가장 큰 특징은 공천심사위원회의 독립성 보장이다.
2004년 3월 한나라당이 대선자금 수사와 탄핵 역풍으로 위기에 처하자 17대 총선을 한 달가량 앞두고 당 대표에 취임한 박 전 대표는 당시 비례대표 공천의 전권을 박세일 서울대 교수에게 넘겼다. 이후 각종 재·보궐선거 때도 공천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다. 관례상 당연직으로 포함되는 당 사무총장도 공심위에서 배제했다. 자신이 임명한 사무총장이 참여하면 공심위의 독립성을 해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006년 지방선거 때도 공천권을 16개 시도당에 100% 위임했다. 당시 공천은 △여론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후보는 단수 후보 추천 △엇비슷한 후보는 경선 실시 △일부 전략지역은 외부 인사 영입 등 3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박 전 대표는 인재 영입도 시스템화했다. 2005년 6월 인재영입위원회를 신설하고 상설기구화한 것도 박 전 대표다.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총선 지역구 공천 경험이 없고,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직접 뛰어본 적이 없다는 점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한 정치권 인사는 “지역구 공천은 손에 피를 묻히는 작업으로 박 전 대표의 이전 공천 경험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