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닮은꼴 父子, 사망때도 닮은꼴

  • Array
  • 입력 2011년 12월 20일 03시 00분


① 심근경색 ② 뒤늦게 사망 발표 ③ 금수산궁 안치■ 1994년 김일성 사망과 비교

1994년 7월 8일 북한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2011년 12월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은 17년이라는 시간을 두고 발생했지만 장례 절차 등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

1994년 7월 9일 발표된 북한 국가장의위원회는 공보를 통해 김 주석의 시신은 금수산의사당에 안치하고 외국의 조의대표단은 받지 않겠다고 밝혔다. 북한 국가장의위원회가 19일 발표한 공보에서도 시신은 금수산기념궁전(금수산의사당이 이름을 바꾼 것)에 안치했고 외국의 조의대표단은 받지 않기로 했다. 김 주석 사망 때에는 후계자 김정일이 장의위원장을 맡았고, 김 위원장 사망 후에는 후계자 김정은이 장의위원 명단 첫 번째에 이름을 올렸다. 두 사람의 사망원인이 심근경색이라는 점도 같다.

애도기간과 장의위원단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다. 김 주석의 애도기간은 1994년 7월 8∼17일로 열흘간이었고, 김 위원장의 애도기간은 12월 17∼29일(13일)로 김 주석 때보다 사흘이 길다. 또 김 주석의 장의위원단이 111명이었던 데 반해 김 위원장의 장의위원단은 232명으로 두 배 이상의 규모다.

김 주석 사망 당시 민간 차원의 조문은 이뤄졌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994년 7월 14일 “남한 각당, 각파, 각계각층 인사들이 조문단을 파견하려 하는 데 사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송두율 독일 뮌스터대 교수, 국제태권도연맹 최홍희 총재, 재미언론인 문명자 씨, 박보희 세계일보 사장 등이 방북해 김 주석을 조문했다. 또 당시 민주당 이부영 의원이 국회 질의를 통해 정부에 조문 의사를 타진하자 보수층이 격렬히 비난하면서 ‘조문 파동’이 일기도 했다. 이번 김 위원장의 빈소에 정부가 민간의 조문을 허용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경제 영향에 따른 정부 대응은 1994년 김 주석 사망 당시와 이번 김 위원장의 사망 이후 경제 수석부처가 합동회의를 열고 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했다는 점에서는 같다. 하지만 1994년에는 주로 물가 급등, 사재기 단속 등을 우려했다면 이번에는 국가 신용등급 강등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장택동 기자 will7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