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이 6일 4·11총선 지역구 후보자 공천을 위한 국민경선에 모바일투표를 전면 도입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직후보자 선출 관련 당규를 의결했다.
지역구 후보 선출을 위한 국민경선은 전화와 인터넷 등으로 사전에 모집한 선거인단의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 결과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치러진다. 선거인단 수가 지역 유권자의 2%에 미달하면 여론조사를 30% 반영하기로 했지만 예비후보들의 조직력을 감안하면 여론조사가 실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모바일투표는 80만 명의 선거인단이 몰린 1·15전당대회 때 위력을 발휘한 바 있다. 당 관계자는 “새누리당의 돈봉투 사건과 같은 구태 정치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최상의 카드”라고 했다.
한명숙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바일투표는 우리 국민의 요구다. 낡은 정치를 청산하는 유일한 방법이고 정치 쇄신을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라며 “민주당의 요구를 묵살하는 새누리당의 의도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해 “조속한 법 개정에 응하지 않는 것은 정치 쇄신에 역행하는 행태”라며 모바일투표를 위한 선거법 개정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모바일투표 신청자가 해당 지역구에 주민등록이 돼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거법 개정이 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지원 최고위원은 “농어촌 지역은 (모바일투표가 힘든) 노인 인구가 40% 이상”이라고 반박했다. 1·15전대에서 변수가 된 모바일투표가 ‘호남 물갈이’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농촌의 노인들은 도시에 사는 자녀 명의의 휴대전화를 소유한 경우가 많아 모바일 가입자와 실제 사용자의 주소 불일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모바일투표가 어려운 노인층의 경우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공개투표를 하는 결과가 된다거나, 구형 휴대전화로는 접속이 어려워 스마트폰 보급률이 저조한 농촌에서는 참여율이 저조할 것이란 점도 문제로 꼽힌다.
총선에서 지역구의 15% 이상에 여성 후보를 공천하기로 한 데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전국 지역구 245곳에 모두 후보를 낼 경우 37곳 이상에 여성 후보를 공천해야 하지만 여성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곳은 39곳에 불과하다. 당내에서는 “현실과 이상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강철규 공천심사위원장은 이날 첫 공심위 회의를 주재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고 “모든 예비후보자들에게 세 가지 질문을 하고 A4용지 한 장 이내의 답변을 받아 면접 심사에 참고자료로 삼겠다”고 말했다. 그가 밝힌 세 가지 질문은 △젊은이들에게 희망과 꿈을 찾아줄 실현 가능한 방안은 무엇인가 △99% 서민의 아픔을 정책적, 제도적으로 해결할 방안은 무엇인가 △경제의 가치와 사람의 가치가 충돌한다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등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