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을 60일 앞두고 새누리당 안팎에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패하겠다”는 불안감과 무기력증이 확산되고 있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주도한 정책 쇄신의 반향이 기대에 못 미친 데다 당 지도부가 총선 구도를 이명박 정부 심판으로 몰고 가려는 민주통합당의 공세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한 채 ‘민주당 따라하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에서다.
대표적인 예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논란이다. 야당은 정권교체 후 한미 FTA 폐기를 공공연히 말하고 있다. 하지만 야당 지도부가 FTA 재협상을 촉구하는 서한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에게 전달한다며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까지 찾아간 8일 새누리당에선 이주영 정책위의장만 “충분한 논의를 거쳐서 국회 비준동의를 마친 한미 FTA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것은 정략적”이라는 성명을 냈을 뿐이다. 농촌 지역구(강원 홍천-횡성) 사정 때문에 한미 FTA 비준동의안 국회 처리 당시 반대표를 던졌던 새누리당 황영철 대변인은 대야(對野) 공격의 선봉에 서는 대신 침묵을 지켰다.
다음 날 박 비대위원장이 지방언론 기자단과의 오찬에서 “한미 FTA는 (민주당) 노무현 정부에서 시작했다. 당시 꼭 필요하다고 국민에게 강조했던 지금 야당 지도부가 FTA 폐기를 얘기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지만 당 지도부 누구도 박 위원장의 뒤를 따르지 않았다.
외교·통상전문가인 비례대표 정옥임 의원만이 개인성명에서 “(민주당의 한미 FTA 폐기 공약은) 표를 위해 나라를 뒤집고 국제사회의 신뢰를 망쳐도 상관없다는 ‘무개념 정치’다. 선거 때마다 실체를 드러내는 반미(反美)의 악령이 정치를 쥐락펴락하는 형국”이라며 “한명숙 대표는 노무현 정부 국무총리 당시엔 ‘한미 FTA가 우리 경제의 성장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었다”고 거들었을 뿐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민주당이 한미 FTA를 선거 쟁점화하려 하는 데 맞장구를 칠 이유가 없다”며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런 판단에 대해 당 일각에선 “민주당의 주장을 맞받아치면서 싸움을 걸어야 하는데, 싸움을 피하기만 해서 선거를 어떻게 이기려는 거냐”는 비판이 나온다. 민주당의 한미 FTA 폐기 주장 제기가 새누리당에는 오히려 호재가 될 수 있는데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권 내 ‘전략통’으로 통하는 한 인사는 “한미 FTA 찬반 여론이 엇비슷한 상황에서 야당과 대등한 선거전을 치르려면 이것만 한 선거 쟁점이 없다. 무조건 피할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 反美-反FTA 공세에도 “피하고 보자” ▼ ‘박근혜 너무 신중’ 불만에도 아무도 공개적으로 얘기못해
한미 FTA 협상을 주도한 김종훈 전 통상교섭본부장 영입에 대해서도 당내에 이견이 있다. 이상돈 비대위원이 “한미 FTA는 굉장한 명암이 있다. 강원 등 취약 지역에서 유권자 표심에 부정적 효과가 있을까 걱정”이라며 부정적 의견을 표시하자, 김성조 의원도 “김 전 본부장이 대기업슈퍼마켓(SSM) 규제법안 통과를 방해했다”며 영입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김 전 본부장 때문에 2010년 6·2지방선거에서 ‘반서민 정당’으로 낙인찍혀 손해를 봤다는 것이다.
다른 새누리당 관계자는 “한미 FTA 같은 논란이 있는 국가 중대사 대신 새누리당의 차별화된 정책을 선거의 쟁점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복지 확대 등 민주당이 오래전부터 선점한 분야에서 새누리당이 새로운 정책을 아무리 제시해도 차별성이 없고 오히려 ‘따라 하기’라는 인상밖에 주지 못하는 것이 고민이다. 유권자들이 ‘짝퉁 민주당’ 같은 새누리당에 표를 줄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당 일각에서 제기된 ‘사병 월급 인상’, ‘아침 무상급식’ 등에 대해선 내부적으로도 “대통령선거 때는 ‘세 끼 무상급식’을 내걸어야 하느냐”는 비판이 나오는 상황이다.
박 위원장이 지나치게 신중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재벌의 지배구조 개선 문제를 건드리지 않고 공정거래 질서를 강화하는 수준의 대기업 정책도 사실상 박 위원장의 추인에 따른 것이다.
새누리당에 이렇다 할 선거 전략이 없다는 내부 비판에 대해 한 친박계 의원은 “쇄신의 핵심은 인물 영입과 공천 쇄신인데 아직 인물 쇄신이 이뤄지지 않은 시점에서 예단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박 위원장은 네거티브와 정치공학적 전략적 접근에 거부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신 국민을 바라보는 정치를 하다 보면 언젠가는 국민이 진정성을 알아주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이런 박 위원장의 소신에 대해 당내 누구도 공개적으로 반론을 펴지 못하지만 한편에선 ‘진정성만으로 선거에 나서기엔 시간이 너무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책 쇄신 노력도 별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김종인 비대위원은 10일 기자들에게 “지금 상황으로 보면 새누리당이 이번 총선에서 너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그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비대위 정책쇄신분과는 이날 유통 대기업의 골목상권 침해 대책을 내놓으며 주력했던 과제를 일단락지었다. 당 총선 공약 개발단 산하 21개 팀도 팀별 아이디어 보고를 마치고 사실상 활동을 종료했다. 그동안 새누리당이 내놓은 정책 쇄신 내용의 반향이 없는 상황에 대해 김 위원은 “정책은 하나의 총선 이슈가 될 정도로 만들어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