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15일 친박 성향의 황우여 대표를 선출함에 따라 12월 대선을 향한 박근혜 친정 체제의 그림이 완성됐다. 새 지도부는 지역구 기준으로 호남을 제외하곤 서울(이혜훈) 경기(심재철) 인천(황우여) 충청(정우택) 영남(유기준) 등 각 지역을 골고루 안배한 결과였다. 황 대표는 앞으로 숱한 파도를 넘어야 한다. 안으로는 비박(비박근혜) 진영의 불만과 비판을 녹여내고 당내 화합을 이뤄내야 한다. 밖으로는 박 전 위원장의 독주 속에 밋밋하게 끝날지 모를 대선 경선에 ‘흥행 요소’를 가미해 국민의 이목을 끌어야 한다.
①대선 경선 룰 시기 조율=황 대표 체제가 맞닥뜨릴 첫 파고는 대선 경선 룰 조율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이재오 의원,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정몽준 전 대표 등 비박 진영 대선주자들은 한목소리로 완전국민경선제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대선 경선 시기를 정하는 것도 새 지도부의 과제다. 현 당헌상 대통령 선거일(12월 19일) 120일 전인 8월 21일까지 대선 경선을 마쳐야 한다. 현재 비박 진영에서는 야권의 상황을 보면서 경선을 최대한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박 전 위원장 측은 당헌대로 진행하자고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②경선 흥행+화합 주도=2007년 초 당시 한나라당 지도부는 대선 후보 중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던 손학규 후보를 여러 방식으로 배려했다고 한다. 손 후보가 대선 경선에 참여해 완주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박근혜 대세론’ 속에 가뜩이나 재미없는 경선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다른 후보들의 ‘중도 하차’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 과정에서 최종 선출된 대선 후보의 지지율이 상승하는 ‘컨벤션 효과’를 거둬야 한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경선에서 패한 후보들이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도록 당내 화합 분위기를 유지해야 한다. 보수대연합과 같은 정치적 이벤트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③총선 공약 실천=한때 정치권에서는 ‘총선 승리=대선 패배’ 등식이 회자됐다. 국민은 한쪽에 권력을 몰아주지 않는다는 논리에서다. 박 전 위원장은 이 프레임을 깨기 위해 ‘총선 공약 실천’을 핵심 대선 전략으로 내세웠다. 황 대표 체제는 공약 실천을 통해 ‘신뢰의 정치’를 새누리당의 이미지로 확장해야 할 책임도 안고 있다.
④쇄신 통한 2040세대 공략=4·11총선을 통해 새누리당은 수도권 2040세대에서 지지도가 가장 취약하다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 ‘수도권 젊은 대표론’이 나온 이유다. 야권연대의 한 축인 통합진보당의 종북과 비례대표 경선 부정, 폭력사태 노출이 호재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황 대표 체제는 교육 보육 주거 등 2040세대를 공략할 이슈를 끊임없이 발굴해 정책 주도권을 바싹 쥐어야 대선에서 유리한 구도를 마련할 수 있다.
⑤야당 공세 방어=이명박 대통령의 임기 말 야당은 현 정권을 상대로 파상공세를 펴며 정권교체 여론에 불을 지필 가능성이 크다. 야당의 공세를 막아내면서 현 정권과의 차별화 전략을 세우는 것도 황 대표 체제의 주요 과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