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GPS(인공위성위치정보) 교란 행위는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 소행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의 이동훈 교수는 7일 국군기무사령부가 서울 공군회관에서 개최한 '제10회 국방정보보호 콘퍼런스' 발표문을 통해 "북한은 전자전과 서비스거부공격, 해킹, 심리전 등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공격을 구사하는 능력을 갖췄다"면서 "특히 GPS 교란 작전은 전자정찰국의 사이버전지도국 소행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이런 추정은 그간 국내 및 국외 언론에서 보도된 내용을 종합해서 발표자료에 인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발표문에 언급된 북한의 전자정찰국 사이버전지도국(121국)은 컴퓨터망에 침입해 비밀자료를 해킹하고 바이러스를 유포하는 사이버전 전담부대로 3천여명이 근무하는 곳으로 알려졌다. 121국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과 김영철 정찰총국장으로부터 직접 지휘를 받는 곳이다.
북한은 2010년 8월23~26일, 2011년 3월4~14일, 올해 4월28~5월13일 등 세 차례에 걸쳐 GPS 교란 전파를 남쪽으로 발사했다.
정부는 북한의 GPS 전파 교란 행위에 대해 국제기구에 문제를 제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교수는 "북한은 1980년대 후반부터 사이버전에 대비했고 러시아와 미국에 이은 세계 3위권의 사이버전 강국"이라면서 "군사적 목적 달성을 위해 국가 중심으로 사이버인력을 정책적으로 양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09년 7월 디도스(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은 평양컴퓨터 기술대학 소행으로 추정된다"면서 "북한은 학생 전원을 유학 등 다양한 특혜를 주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 군은 정보통신 관련 전공자 일부를 사이버국방 인력으로 수급하고 있으며, 정보보호 병과 같은 전문 특기가 없다고 이 교수는 지적했다.
그는 "사이버국방 병과를 신설해 사이버 공격과 방어 임무 등의 업무를 체계화하고, 사이버 모의전쟁 훈련시설과 사이버 워 룸을 각각 설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앞서 배득식 기무사령관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북한은 대남 도발 목적으로 단기간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사이버 테러를 통해 국내 핵심 기반시설을 마비시켜 사회적 혼란 조장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배 사령관은 "북한은 전략적으로 육성한 전문 해커를 활용해 물리적으로 분리된우리 군의 정보망에까지 침투해 군사기밀 절취와 국방정보시스템의 무능화를 시도하고 있다"면서 "군은 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정보보호 정책과 제도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