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동의안 부결로 정국의 핵으로 떠오른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에 대해 여권 주변에서 들리는 소리다. 이 대통령을 만든 개국공신이었지만 이내 반이(반이명박)로 돌아섰고, 이제는 자신이 5년 전 좌초시킨 박 전 위원장의 대선 가도에 찬물을 끼얹고 있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어쩌다 5년 사이에 권력과 잇따라 충돌하게 됐을까. 공무원(행정고시 24회) 출신인 그는 처음부터 ‘반골’은 아니었다. 16대 총선에서 낙선한 뒤 좌절감에 앓아누워 아내로부터 “이 정도밖에 안 되는 남자냐”는 핀잔까지 들었던 그는 2002년 이명박 서울시장 밑에서 정무부시장을 맡으며 재기를 노렸다. 17대 총선에서 당선된 뒤 이 대통령을 당선시키는 데 기여해 성공 가도를 밟는 듯했다.
그런데 정작 그 후가 문제였다. 10년 만의 정권교체로 주변엔 한자리를 바라는 인사 수요가 넘쳐났지만 이상득 전 의원 등이 이미 핵심을 차지해버린 것이다. 화가 난 정 의원은 2008년 1월 어느 날 밤 당선인 신분이던 이 대통령을 사무실로 찾아가 “이럴 수 있느냐”고 호소했다. 하지만 돌아온 답은 “싸우지 말고 알아서 잘하라”는 것이었다. 이후 정 의원은 냉소적으로 변했고 서서히 이 대통령과 멀어져 여당 쇄신파의 좌장이 됐다.
반이로 돌아섰지만 정 의원은 보수주의자였다. 박 전 위원장을 비판했지만 정권 재창출은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 그런 정 의원이 박 전 위원장에게 결정적 반감을 갖게 된 계기는 또다시 인사 문제였다. 올해 4·11총선에서 친박(친박근혜)계가 주도한 공천을 지켜보던 정 의원은 “2008년 친이(친이명박)가 공천 학살을 했다면 이번엔 말살 수준”이라며 치를 떨었다.
이후 정 의원은 박 전 위원장과 그 주변의 한계를 수시로 지적했고, 이번에 다시 한 번 박 전 위원장의 앞길을 막아서고 있다. 결국 정권 내내 계속된 친이-친박 갈등과 권력투쟁이 얽혀 정 의원을 이명박 정권 최대의 정치 풍운아로 만들고 있는 셈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