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모바일투표, 新조직선거 논란… 安측 수용안할듯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9월 17일 03시 00분


단일화경선 최대 쟁점 전망

정치 혁신인가 신종 조직선거인가. ‘국민이 직접 뽑는 대선후보’를 명분으로 민주통합당이 야심 차게 도입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는 모바일투표를 둘러싼 잡음으로 미완의 ‘정치 실험’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

국민참여경선은 2002년 민주당이 대선후보 경선에 처음 도입한 후 점차 일반 유권자의 참여 폭이 커지는 방식으로 변해왔다. 이번 경선은 당원과 일반 유권자의 차이를 전혀 두지 않은 100% 완전국민참여경선으로 치러졌다. 그 핵심은 모바일투표였다. 민주당은 국민의 뜻을 조금이라도 더 반영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경선 흥행을 위한 전략이었다.

하지만 민주당이 대의민주주의의 ‘정치적 혁명’이라고 자랑했던 모바일투표가 이번 경선에선 불공정 시비 등 숱한 폐해를 드러내면서 오히려 경선 흥행 실패의 원인이 됐다. 민주당은 4·11총선과 6·9 전당대회에서도 모바일투표를 실시했지만 조직력이 강한 후보에게 지나치게 유리한 것으로 드러나 신종 조직선거라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당심(黨心)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뜻에서 ‘모발심’(모바일 민심)이란 신조어가 생기기도 했다.

진보성향 학자인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도 6월 민주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모바일투표에 대해 “난센스에 가까운 제도”라며 “부정적인 의미에서 혁명적인 변화”라고 비꼬았다. 그는 “(모바일투표가) 한국 정치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을 만들고 있다”고도 했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야권후보 단일화가 정치적 담판이 아닌 경선 방식으로 치러질 경우 모바일투표 실시 여부가 쟁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많다. 민주당은 모바일투표를 포기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이번 경선에서 실시된 모바일투표 방식은 전국 조직을 가진 민주당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같은 이유로 안 원장 측은 이를 수용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안 원장 지지자로 분류되는 강준만 전북대 교수는 ‘안철수의 힘’에서 “(모바일투표는) 민주시민의 바람직한 참여 의욕이라고 하기엔 현 단계에선 그 부작용이 너무 크다. 이들이 정치를 전쟁으로 만드는 주력 부대이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길진균 기자 leon@donga.com
#민주당#단일화#모바일 투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