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북한이 발사한 은하3호 장거리 로켓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사용하면 최대 사거리가 1만3000km에 이르는 것을 어떻게 계산할까. 전문가들은 은하3호의 비행궤도와 1, 2단 분리 과정, 위성의 무게 등 알려진 정보로 어느 정도 추론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은하3호에 위성 대신 탄두를 넣었다고 가정하고 이 탄두가 은하3호에서 분리된 뒤 추가로 날아간 궤적을 계산하면 된다. ICBM은 우주로 올라간 뒤 다시 아래로 떨어져 내려오는 ‘포물선’ 궤도를 그린다.
은하3호의 1단은 발사 지점에서 429km 떨어진 변산반도 부근 바다에 떨어졌다. 이때 로켓의 속도는 초속 2.6km 정도다. 로켓이 1단씩 분리될 때 초속 2.6km씩 속도가 붙는다. 3단이 모두 분리됐을 때 정확히 초속 7.8km에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2단 로켓 분리 지점은 발사 위치에서 약 2600km 떨어진 필리핀 인근 해안이다. 은하3호가 2단 로켓이라면 여기서부터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론적으로 로켓 추진에 의해 날아간 거리만큼 관성으로 비행할 수 있어 총 비행 가능 거리는 5200km로 추측할 수 있다.
은하3호는 3단이어서 마지막 3단 로켓으로 최소 1500km 이상을 더 비행한 것으로 보인다. 3단은 임무를 마치고 대기권에서 타버리기 때문에 찾을 수 없다. 3단 비행거리까지 합치면 추진력으로만 대략 4000km 이상을 날아간 것이다. 그 뒤의 관성 비행거리를 포함하면 단순 계산으로도 사정거리 8000km는 충분한 셈이다.
그러나 여기에 다시 ‘플러스알파(+α)’가 있다. 로켓이 ICBM과 인공위성을 우주에 내려놓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ICBM은 인공위성을 내려놓는 위치에서도 한참을 더 우주로 올라간다. 초속 7.8km로 지구 표면과 수평으로 탑재물(위성이나 탄두)을 내려놓으면 계속 돌게 되지만 각도를 23도 정도 위로 높여 우주로 더 올라가게 만들면 비행하다가 중력에 이끌려 지상으로 떨어진다. 하강하면서 초속 7.8km보다 속도가 더 붙어 추가로 2000∼5000km의 비행거리를 얻게 돼 사거리 1만 km가 넘는 미사일이 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