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조각에 대비해 이미 일부 인사에 대한 검증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선인 측의 한 관계자는 6일 “인수위원 인선 검증을 하면서 내각 참여를 염두에 둔 인사에 대한 검증도 동시에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직 특정 인사로 확정지은 것은 아니고 검증에 시일이 걸리기 때문에 여러 후보를 검증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4일 인선이 마무리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예비내각용이 아니라 조용한 인수작업만을 위한 ‘2개월용’이라는 평가가 많다. 다른 관계자는 “특정 인사를 위해 자리를 만들기보다는 자리에 맞는 인사를 고르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박 당선인의 머릿속에는 인수위에 적합한 인사와 내각에 적합한 인사가 나뉘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 1월 말로 예상되는 국무총리 및 대통령실장 인선과 2월 초 발표될 내각, 대통령수석비서관 인선이 초미의 관심사다. 정치권은 정권 인수 시 보통 가장 먼저 인선에 착수하는 국가정보원원장을 비롯한 사정기관장 인선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무총리 인선은 무엇보다 국정운영 능력과 안정성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첫 국무총리 콘셉트의 핵심은 ‘세종시 시대의 첫 총리’ ‘박 당선인이 공언한 책임총리’라는 점”이라며 “이를 감안하면 국정운영 능력이 최우선 조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국정운영시스템을 잘 알고 있는 고위 관료 출신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른 관계자는 “책임총리를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국가 예산을 다뤄본 경험이 있어야 한다”며 “정치인이나 학계 인사보다는 관료 출신이 유리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전례를 보더라도 정치인 출신 총리들은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아는 실세인 만큼 힘이 실리긴 하지만 정치인 특유의 포퓰리즘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고 학계 출신은 나름대로 전문성은 있지만 부처 장악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다만 관료 출신은 무난하고 안정적이지만 개혁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당선인이 대선 기간에 대탕평 인사를 강조한 만큼 호남 출신이 유리하다는 관측이 일반적이다. 호남 총리의 필요성은 당선인에게 여러 차례 건의된 사안이다. 그러나 당선인 주변에서는 인수위 인선에서 호남을 배려했고 내각 전체가 대탕평 기조로 가면 굳이 총리를 호남 출신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조금씩 나오고 있다.
중립 성향의 정책통인 유일호 당선인 비서실장이 대통령실장으로 청와대에 입성할지도 주목된다. 인선 발표 당시에는 박 당선인과 인연이 깊지 않은 유 실장의 활동기간은 취임 전까지라는 분석이 많았다. 그러나 당선인이 비서실장을 자주 바꾸지 않는 데다 당선인 스스로 자신 있는 정무 분야보다는 경제정책을 보좌할 수 있는 유 실장이 맞춤형이라는 의견도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만 대통령실장은 관례상 의원직을 내놓아야 하기 때문에 당선인이나 유 실장 모두에게 부담이다.
친박 실세 측근으로 분류되는 이한구 서병수 최경환 유정복 의원, 권영세 전 의원 등은 향후 대통령실장이나 장관 등으로 언제든지 쓸 수 있는 카드다.
이번 인수위 때 측근을 배제한 것을 놓고 내각과 대통령실에서 쓰기 위해 아껴둔 것이라는 해석과 측근 정치인이 아닌 전문가형으로 조각을 하겠다는 신호탄이라는 해석이 엇갈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