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앞에 난제가 많지만 우리나라를 진정한 선진국으로 만드는 대업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국가미래연구원(설립)이 여러분의 능력을 국가와 국민들에게 돌려주고 기여하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
2010년 12월 27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연구원 발기인대회에 참석해 축사를 할 때만 해도 2년 뒤 이 연구원의 영향력이 이렇게 커질 줄은 몰랐다. 당시 발기인 78명 중 대통령직인수위원에 7명이나 이름을 올렸다. 당시 명단에는 없었지만 안상훈 인수위원도 창립 당시부터 연구원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사실상 8명인 셈이다. 이들은 박 당선인의 각 분야 공약을 꿰뚫고 있어 인수위 내 영향력이 다른 위원들보다 클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 3∼8년 전부터 맺어온 인연
당선인과의 인연이 가장 오래된 이는 안종범 위원이다. 그는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보다도 인연이 오래됐다. 안 위원은 유승민 의원과 함께 2002년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선후보의 정책팀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부터 당선인과 본격적인 인연을 맺었다. 2007년 대선 경선을 거쳐 2008년부터 당선인과 공부모임을 함께하며 ‘정책 측근’으로 자리 잡았다. 2011년 당선인의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를 보좌하고 지난해 4·11총선 공약을 다루면서 이재만 전 후보 보좌관, 강석훈 인수위원과 함께 당선인의 정책 실무를 총괄하는 3인방으로 활동했다. 서승환 홍기택 최대석 옥동석 인수위원은 2008년 이후 당선인과 인연을 맺었다. 이들은 각 분야 전문가로 공부모임에 초청됐다가 자연스레 전문가그룹으로 연구원에 합류했다.
최성재 윤병세 인수위원은 박 당선인이 외곽에서 인연을 맺어오다가 직접 연구원에 합류시킨 케이스다. 최 위원은 1968년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따서 서울대에 세워진 기숙사 ‘정영사(正英舍)’ 1기 출신으로 당선인과 꽤 오랜 인연을 맺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당선인의 정책자문그룹에 본격적으로 합류한 건 2010년 사회보장기본법을 준비하면서다. 윤 위원은 노무현 정부 때 대통령외교안보수석비서관을 마친 뒤 당선인에게 몇 차례 조언을 해주다 인연을 맺었다. 윤 위원이 연구원에 합류할 무렵 “노무현 정부 인사인데 같이해도 되겠습니까”라는 주변의 질문에 박 당선인은 “정책에 이념이 있나요. 상관없습니다”라고 답했다고 한다.
안상훈 인수위원의 경우 일각에선 친박계 원로인 김기춘 전 법무부 장관의 사위라는 점에 주목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복지 선진국인 북유럽의 사례를 가장 정확하게 아는 복지 분야 전문가로 추천돼 당선인과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 연구원의 힘은 ‘통섭’
옥 위원은 본래 재정전문가로 경제학과 교수다. 연구원에서도 재정복지분과에서 활동했다. 그러던 옥 위원이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 이어 이번 인수위에서도 정부 조직개편을 담당하게 된 건 연구원의 최대 모토가 ‘통섭’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박 당선인도 7일 인수위 첫 회의에서 국민 행복을 위한 각 분야와 산업의 통섭을 강조했다.
연구원은 정부 조직개편에 대한 새로운 방향의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행정분과 재정복지분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분과 위원을 섞어 정부조직TF팀을 꾸렸다. 정통 정부조직론을 연구한 행정 분야,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 조직개편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재정 분야, 미래 성장동력인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미래지향적인 정부조직을 연구해온 것이다.
서승환 위원이 간사를 맡았던 연구원의 주택부동산팀도 금융·세무 분과 위원들을 자신들의 회의 멤버로 합류시켰다. 목돈 없이 전세를 마련하는 렌트푸어 대책과 보유주택 지분을 매각하는 하우스푸어 대책은 이들의 조언을 받아 다양한 금융기법이 가미되면서 공약으로 만들어졌다.
이들 인수위원은 연구원에서 각 팀의 간사 역할을 맡았다. 각 팀에는 교수뿐 아니라 현장 전문가들도 합류시켰다. 홍기택 위원이 간사를 맡았던 금융팀도 은행, 증권, 신용조합 연구가는 물론이고 현업 금융인까지 합류시켜 국민행복기금을 통한 다양한 가계부채 대책을 만들어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