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중국에서 열리는 민간 차원의 남북 축구대회 개최를 놓고 대회 주최 측과 정부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로 대북제재가 논의되는 만큼 시기가 좋지 않다”는 태도이고, 주최 측은 “정세와 무관한 민간행사 아니냐”며 맞선 상태다.
사단법인 남북체육교류협회는 19∼30일 중국 하이난(海南) 성에서 남북한과 중국 태국 4개 팀이 참가하는 ‘제3회 인천평화컵 국제유소년 축구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24∼27일에는 중국 하이난다오(海南島)에서 남북한과 중국, 미국 4개국이 참가하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기념 국제 여자청소년 축구대회’도 열릴 예정이다. 두 대회는 교류협회와 하이난 성 축구협회가 공동주관하고 인천시와 강원도가 각각 후원한다. 남측 대표단이 북한 선수와 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통일부로부터 사전에 ‘북한주민접촉승인’을 받아야 한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이 장거리로켓(미사일)을 쏜 지 한 달밖에 지나지 않았고 유엔에서 대북제재가 논의되는 상태에서 남북축구대회를 강행해야 하느냐는 부정적 의견이 적지 않아 주최 측과 일정(연기) 문제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최종 승인 여부는 정식 접촉신고가 들어오면 필요한 논의 절차를 거쳐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부 주변에서는 “통일부가 한반도 정세를 이유로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눈치를 보며 허가 여부를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미루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인천평화컵 대회는 연평도 포격(2010년 11월) 4개월 뒤인 2011년 3월 첫 대회가 열렸고, 지난해에도 무난히 2차 대회를 치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