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당선인이 홀로 인선작업을 주도하고 그에 대한 책임도 지는 상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일고 있는 때다. 당선인 비서실장, 정무팀장, 대변인 등은 인선 과정에 대해 한결같이 “모른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당선인이 인선 관련 정보를 혼자 틀어쥐고 있는 것도 문제지만 언론의 ‘밀봉’ ‘불통’ 인사 지적을 취합해 당선인에게 책임 있게 전달하고 당선인의 진의를 국민에게 대신 설명해 줄 사람이 없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 내부에서부터 제기되고 있다.
특히 박 당선인이 김 전 후보자가 헌법재판소장과 대법관 시절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친 것으로 착각했다면 인사검증팀의 역량에 심각한 하자가 있다는 뜻이므로 인선작업을 책임지고 관리할 비서실장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당선인의 한 관계자는 “당선인의 뜻을 받들되 청와대나 언론과 소통하며 인선작업을 주도할 사람이 필요하다”며 “비서실장 인선 시기를 총리 인선보다 앞당겨 최대한 빨리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국무총리 후보자 낙마로 인해 2월 25일 취임 이전 상황이 녹록지 않아진 것도 ‘정무형’ 비서실장의 필요성이 커지는 배경이다. 다른 인수위 관계자는 “당장 2월 초 정부조직법 개정안 국회통과가 만만찮다”며 “새누리당의 결집과 야당의 협조를 이끌어내 정부조직 개편안을 통과시키고 총리와 내각 인선을 책임질 소방수 비서실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최경환 유정복 의원, 권영세 전 의원 등 정치인 출신 비서실장 후보군들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그동안 ‘친박 실세’ ‘현역 지역구 의원 차출’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가능성이 낮은 분위기였지만 앞으로 청와대-국회-언론과의 원활한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정무형’ 인사가 불가피하다는 것.
인선과 국정 운영에 대한 자기 확신을 갖고 ‘비서형’ 비서실장을 택할지, 현 위기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정무형’ 비서실장을 택할지는 박 당선인의 상황 인식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댓글 12
추천 많은 댓글
2013-01-31 10:37:12
기자야! 기사이면 사실에 충실하여 옮기면 된다. 기사인지 논설인지도 헤갈리는 이런 내용 보도하지 마라. 만고 기자 너 생각이다. 너의 정형화된 눈으로 박의 인사 스타일을 보지마라. 이미 장관 총리할 사람 전부 맘속에 결정하고 있을 것이다.
2013-01-31 06:08:57
앉으나 서나 조직개편,,,자나깨나 조직개편,, 경호처를 경호실로 국무총리실을 宮舞조정실로 행정안전부를 안전행정부로 미래거시기부를 잡탕부,짬뽕부,두루뭉실부로 기타 잡것들은 짜집기부로 청아대는 무조건 장관급으로,,,차지철,,박종규급으로
2013-01-31 05:45:29
개들아 까마귀가 낮짝에 분바른다고 백로된다더냐 자주꽃 핀건 자주감자다,,,파보나마나 자주감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