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준 전 총리… 재산 신고-등기부 등본 등 공개자료부터 점검

  • Array
  • 입력 2013년 2월 4일 03시 00분


■ 본보-채널A 검증 과정

1월 24일 김용준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된 당일부터 동아일보-채널A 공동취재팀은 본격적인 검증 취재에 들어갔다. 국무위원은 국정 전반을 이끄는 국가 지도자이면서도 선거 과정을 통해 검증받지 않았기 때문에 자질과 도덕성에 대한 언론의 검증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취재팀은 우선 김 위원장이 대법관 시절인 1993년 첫 공직자 재산공개 때 신고한 관보 내용에서 출발했다. 이와 함께 김 위원장이 소유한 부동산에 대한 폐쇄등기부 등본 등을 확보해 분석했다.

김 위원장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과 경기 안성시의 땅에 대해 “직접 매입한 땅이 없고, 모친이 손자들에게 사 준 것”이라고 해명해 왔다. 그러나 폐쇄등기부 등본을 확인한 결과 두 곳의 땅에 김 위원장 어머니의 이름이 없는 점을 발견했다. 전형적인 부동산 편법 증여 의심을 살 만한 대목이다. 이후 취재 과정에서 안성시의 땅은 법원에서 함께 일했던 법원 서기와 공동으로 매입했으며 김 위원장이 매입 직전 그곳을 찾은 적이 있다는 사실을 현지에서 확인했다.

취재팀은 김 위원장 두 아들의 병역 면제 과정도 반드시 검증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판단해 많은 사람을 직접 만나 취재했다. 장남의 대학교 동기들은 “면제받을 정도는 아니었다”, “고의로 체중을 감량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등의 증언을 했다. 장남의 키를 확인하기 위해 현중 씨의 집 앞에서 그를 직접 만났다.

김 위원장은 후보직을 사퇴한 뒤 발표한 해명자료에서 언론에 강한 불만을 쏟아 냈다. 그는 발표문에서 “저희 내외는 물론 제 자식들, 심지어 어린 손자녀들까지 미행하면서 초등학교, 고등학교 등에 부정 입학한 것이 아니냐고 추궁하고 그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까지 가서 범죄인을 다루듯 조사했다”라고 썼다.

동아일보-채널A 공동취재팀은 검증을 시작하며 “국무총리 후보자인 만큼 검증 과정에서 가족이나 관련자를 만났을 때 최대한 예의를 갖춘다”라는 원칙을 분명히 하고 현장 기자들 모두가 이를 실천하도록 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이뤄지는 회의에서도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시로 점검했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김용준#인사검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