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7일 3자 회동을 열어 북한이 핵실험을 즉각 중단하고 진정한 협력의 자세를 보일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 국정 전반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 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대선 기간 여야가 공통으로 제시한 공약을 조속히 실행하기로 합의했다. 박 당선인이 여야 지도부를 만난 것은 대선 이후 처음이다.
박 당선인과 여야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만난 뒤 6개항의 ‘3자 회동 결과 발표문’을 공개했다. 이들은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무장을 용납할 수 없으며 북한이 우리와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실험 등 도발을 강행할 경우 6자회담 당사국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무모한 핵실험으로 북한이 얻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북한이 자꾸 앙탈을 부리고 강경책을 쓰면 국제사회가 보상을 준다는 악순환을 끊을 때가 됐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이 이렇게 강경 일변도로 가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추진하기 어렵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고 한 참석자는 전했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인도적 지원과 남북 경제협력을 바탕으로 남북 간 불신과 대결의 악순환을 끊고 신뢰와 평화의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겠다는 박 당선인 대북정책의 핵심 기조다.
박 당선인과 여야 대표는 “정부 교체시기에 북한의 무모한 행동으로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정부와 군이 확고한 안보태세를 유지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3자 회동에서는 북핵 문제뿐 아니라 국정 전반을 논의하기 위한 여야 간 협의체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박 당선인에게 “(문재인 전 대선후보를 지지한) 48% 국민을 잊지 말고 100% 대통령이 되길 바란다”며 “당선인이 많이 들었으면 좋겠다. 소통의 핵심은 역시 야당과 언론이다. 야당은 언제든지 대화하고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니 언제든 부르면 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취임 1년이 지나면 동력이 떨어진다. 취임 1년 동안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꾸준히 밀고 나가야 한다”며 “(새 정부의) 순조로운 출발을 위해 도울 수 있는 것은 다 돕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박 당선인은 “(앞으로) 국가지도자 연석회의를 마련할 계획이고, 그런 형태가 아니더라도 여야 지도부와 꾸준히 상의하겠다”고 화답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