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임명하는 모든 인사 검증은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실 산하 공직기강비서관실이 담당하고 있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은 조응천 비서관과 행정관(13명), 행정요원(5명) 등 모두 19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검증팀과 감찰팀으로 나뉘어 있으며 13명 정도가 검증팀 소속이라고 한다.
조 비서관은 공안부 부장검사 출신으로 김앤장 변호사를 거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 공직기강비서관실 소속 행정관은 경찰청, 국세청에서 각 3명, 안전행정부에서 2명, 국방부와 국무총리실에서 한 명씩 파견 받아 구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2010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적이 있는 별정직과 검사 출신도 한 명씩 포함돼 있다.
인원은 꾸준히 보강 중이다. 감사원 파견 공무원이 뒤늦게 합류해 근무하고 있지만 아직 최종 발령은 나지 않은 상태다.
행정관들 중 이명박 정부 때 인사기획관실에서 근무했던 이들이 3명 정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 출범 전 인수위 시절 국무총리, 장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을 검증했던 이들 중에는 한두 명 정도만 공직기강비서관실에 합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이 각종 사정기관에서 사람을 파견 받는 건 입체적인 검증을 위해서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의 인사검증은 해당 후보자로부터 자기정보 제공 동의서를 받아 안전행정부 경찰청 검찰청 국세청 등 15개 기관에서 28가지 기본 자료를 제공받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 자료를 수집하는 데 사흘 정도가 걸린다. 그 자료를 통해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특이사항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후보자의 소명을 받는 작업을 진행한다. 검증시스템은 그나마 최근 들어 안정돼 가고 있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에서 도입한 200개 사전 질문서도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낙마 이후 받기 시작했다.
공직기강비서관실은 민정수석실 소속이지만 청와대에서는 몇 명만 근무할 뿐 대부분은 청와대 밖 안가에서 작업을 진행할 정도로 보안을 강조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같은 민정수석실 소속의 다른 비서관실 직원들도 공직기강비서관실 사람들은 거의 볼 일이 없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