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방중 앞두고 ‘비핵화 협력’ 강조
中 7월 외사공작영도소조 개최땐… 대북정책 대전환 논의 있을지 주목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사흘 앞으로 다가온 중국 방문과 관련해 “한중 간 협력과 공조를 다져 북한이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은 24일 “이번 방중에서 양국 공조를 더욱 내실화하고 북한의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해 한중 간의 협력과 공조를 다져서 북한이 국제사회가 요구하는 진정성 있는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27일부터 3박 4일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하면서 “한국과 중국 모두 올해 새 정부가 출범했고 최근 한반도 정세를 포함해 정치, 경제적으로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한중 정상회담이 열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채택될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는 북한 비핵화에 대한 양국의 의지와 함께 “한반도의 자주적 평화 통일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한반도 평화통일과 관련한 내용이 들어가는 걸 전제로 관련 문구를 중국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8년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때 발표된 성명에는 “궁극적으로 (남북이) 평화통일을 실현하는 것을 계속 지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한중관계 전문가인 김흥규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의 외교정책을 결정하는 최고기구인 공산당 중앙외사공작영도소조(中央外事工作領導小組)가 다음 달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중국은 외사공작영도소조 개최를 비밀에 부치고 있다. 실제로 개최될 경우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는 중국의 대북정책에 대한 논의가 있을지 주목된다. 외교부는 “언제 개최될지 중국으로부터 들은 바 없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의 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24일 박근혜정부의 대북 정책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이명박정부 때의 ‘비핵개방 3000’보다 적대적이라고 비난했다. 신문은 박 대통령을 ‘박근혜’라고 부르면서 “두 정책은 핵 포기와 개방을 요구하고 흡수통일을 노린다는 점이 공통점”이라며 “신뢰 프로세스는 북을 국제적으로 더 고립시켜 변화할 수밖에 없도록 몰아간다는 점에서 선임자의 것보다 더 적대적이고 대결적”이라고 말했다. 또 “이명박도 감히 손대지 못했던 (개성공단 같은) 북남협력사업마저 파괴하려는 박근혜는 자기 부친이 직접 참여한 7·4공동선언도 묵살하는지 두고 볼 일”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