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60년… 韓-美-北-中의 7·27]4국 4색 표정
■ 온라인 여론조사서도 33%가 부정적
《 6·25전쟁이 유엔군과 북한, 중국군 간의 협정으로 끝난 지 60년. 정전협정 기념일인 27일 박근혜 대통령은 참전국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하며 북한에 핵을 포기하고 평화의 길로 나서길 촉구한 반면 북한은 전술핵무기에 속하는 핵배낭 등 신무기 과시에
바빴다. 미국은 그 어느 때보다 성대한 기념식을 열어 6·25전쟁을 “승리한 전쟁”이라고 천명했고 정전협정의 또 다른 당사자인
중국에선 6·25전쟁 참전 후회론이 일고 있다. 정전협정 60주년을 맞아 남북한과 미국 중국의 각기 다른 표정을 전한다. 》
6·25전쟁 정전 60주년을 맞아 중국에서 6·25전쟁 참전에 대한 회의론이 퍼지고 있다. 특히 소수지만 참전군인 사이에서는 공개적으로 “참전을 후회한다”는 말까지 나왔다. 이런 분위기를 겨냥한 듯 중국 관영 언론은 사설로 6·25 참전의 필요성을 역설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 주요 포털 중 하나인 텅쉰(騰迅)은 26일 ‘항미원조전쟁에 참전했어야 했나’라는 제목의 글에서 ‘중국이 소련 대신 참전했다’와 같은 참전 관련 의문을 소개하고 반박했다.
텅쉰이 27일 진행한 온라인 여론조사에서도 약 33%가 6·25전쟁에 참전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응답했다. ‘참전이 옳았다’는 응답에 비하면 절반에 불과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다. 이 여론조사 결과는 하루 뒤인 28일 삭제됐다.
공산당 기관지 런민(人民)일보의 국제시사 자매지 환추(環球)시보는 27일 ‘정전 60주년, 중국 여론은 미국보다 더 당당해야 한다’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최근 지원군(중국군)의 위대한 정신을 널리 알리는 글은 많지 않고 오히려 ‘반성’의 글이 적지 않다”고 개탄했다. 이 신문은 “항미원조전쟁은 중국에 필연적 선택이었다”고 주장했다.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13-07-29 06:41:15
중국의잘못된결정하나로,북쪽동포들이지옥에서고통받고짓밝히면서오늘도죽어가고있는이때죽국은지금도김정은과그일당을체포하고북한을해방하여대한민국에주권을넘겨주어야한다
2013-07-29 10:31:16
' 2"우리 국민은 모택동을 불구대천의 원수로 생각한다, 왜냐면 우리국군이 압록강가 에 갔엇스니 통일 된거나 마찬가지 인데 모택동 때문에 망쳣고 지금의 불쌍한 북한사람들을 보면 알수 있는게 아니냐 하고 따졋드랬서요. 동의하면 추천 해주세요...
2013-07-29 10:15:38
" 1"오래전에 북경사는 지인과 언쟁을 했섯지요, 모택동이 중국천하 통일은 하구서는 왜 한국의 통일은 방해 놨느냐 로,그사람말이 미군이 중국국경너머 폭격 햇기 때문이래요. 아하 그렇게 무지몽매한 국민을 속이고 군대를 동원했구나 생각했지요. 그래서 나는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