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문재인 의원(사진)이 당 밖 친박(친박근혜) 세력의 공세, 당내 비노(비노무현) 세력의 압박, 그리고 검찰수사라는 삼각파도에 휩싸여 고립되는 형국이다.
각각 친박과 비노를 대표하는 새누리당과 민주당 지도부는 연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논란 종식’을 이야기하며 출구전략의 물밑작업에 열중하고 있고, 검찰은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 등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삭제 의혹’에 관련된 노무현 정부 인사들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를 취했다.
이런 가운데 6월 국회가 종료된 이후 보름 넘게 지역구인 부산 사상구에 머물고 있는 문 의원은 28일 오후 부산 수영구청에서 열린 민주당 ‘정치공작 규탄 및 국정원 개혁촉구 부산·울산·경남도당 당원 보고대회’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날 보고대회에는 김한길 대표, 양승조 최고위원 등은 참석한 반면 지난주 NLL 논란과 관련해 “무책임의 극치”라며 문 의원을 비판한 조경태 최고위원(부산 사하을)은 불참했다. 문 의원 측은 “NLL 논란과 관련된 장외집회에 문 의원이 나간 적이 없다”며 “김 대표 측에서도 참석해달라는 요청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문 의원은 전날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재단의 토요강좌에서는 인사말을 통해 “무엇이 옳은 일인지 나름대로 확신을 갖고 있다.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의 진실을 끝까지 규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자신이 처한 정치적 ‘삼각파도’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문 의원은 또 “(현 정부가) 국정원의 선거 개입도 덮고 누르고, 정상회담 대화록도 덮고 누르고, NLL 진실도 덮고 누르고 있다”며 “하나라도 털고 가면 될 것을, 책임을 묻고 사과하고 쿨하게 처리하면 잘한다고 지지받을 텐데, 그냥 넘어가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하기도 했다.
문 의원 측 관계자는 “여당이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은 없었다’고 인정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당 일각에서는 “문 의원이 소수의 열성적 ‘친노 지지층’만 바라보며 외통수로 자신을 내모는 것 같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