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다음 달 5,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20일 밝혀졌다. 지난해 12월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 출범 이후 일본 정부가 한국에 공식으로 정상회담을 제안한 것은 처음으로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19일 이병기 주일대사를 만찬에 초대해 “G20을 포함해 가을에 열리는 다자 정상회의 때 한일 정상이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양자 간 공식 회담이 어려우면 부담이 적은 다자 외교무대에서 일단 약식 회담이라도 하자는 의미다. 이 대사는 “일본의 생각을 서울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만찬에는 아베 총리의 측근으로 꼽히는 사이키 아키타카(齋木昭隆) 사무차관,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아시아·대양주 국장 등 외무성의 핵심 간부들이 배석했다. 일본 외무성 장차관과 담당 국장이 주일 한국대사와의 회동에 참석한 것도 드문 일이다.
이하라 국장은 22일 한국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다자 외교무대에서의 한일 정상회담 성사 여부가 곧 결론 날 것으로 전망된다. 기시다 외무상은 이날 만찬에서 박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대일관계와 관련해 미래 지향적인 자세를 보인 것을 평가했다. 이 대사는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靖國) 신사에 참배하지 않은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전몰자 추도식 때 아시아 각국에 고통과 피해를 준 데 대한 책임을 거론하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는 생각을 전달했다. 이와 함께 아베 총리가 식민지 지배와 침략을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에 담긴 일본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한다는 방침을 명확히 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날 만찬에서는 또 일본군 위안부와 강제 징용자 피해 보상 문제 등 한일 간 주요 외교 현안도 모두 거론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본이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가시적인 조치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만찬에서 논의된 내용은 상세히 설명하기 어렵다”며 “한일 간에 정상회담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3-08-21 05:06:28
아베야 왜 정상회담이 필요하냐? 지난3개월동안 온갖 망언 만행 다 부리고 회담 하자니 혹시 친일 한국인 찾냐?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세계에서 고립될 왜국에 동조할 친일파는 한명도 없음을 미리아린다이. 정신차려라.....!!!
2013-08-21 08:54:17
작금의 한일문제는 일본의 도발적인 최근세 침략 역사까지 무정하는 행동으로 선린관계를 완전히 뭉개버렸다..이제와서 G 20 회의를 기회삼아 어물쩡 넘어가려는 속임수 정말 유치하고 괘심하다...일본은 경제적, 지정학적, 지리적, 정치적밎 환경적으로 이미 쇠망의 문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