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전-현 충청의원 12월 첫 모임… 민주 의원도 가세 한목소리 낼 듯
“영호남 구도, 영충호 중심 재편돼야” 2016년 총선 선거구획정 충돌 예고
올해 5월 호남 인구를 추월한 충청이 국회의원 의석수를 늘리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다. 의석수를 늘려 충청권의 정치적 위상을 호남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국회의원 정원(300명)을 늘리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2016년 20대 총선을 앞두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두 지역 간 충돌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충청권 출신의 새누리당 의원들은 11월 12일 ‘충청 의석 증원’을 논의하기 위한 모임을 갖기로 뜻을 모았다. 충남지사를 지낸 이완구 의원(충남 부여-청양)은 최근 김태흠 원내대변인(충남 보령-서천), 이장우 대전시당위원장(대전 동구), 성완종 충남도당위원장(충남 서산-태안), 박덕흠 충북도당위원장(충북 보은-옥천-영동)과 만나 충청 의석 증원 문제를 논의한 뒤 11월에 당내 충청 출신 의원 전원이 참여하는 저녁 모임을 갖기로 했다. 이 모임에는 충청지역 의원뿐 아니라 충청 출신 의원까지 총 30명가량 참여할 예정이다. 이들은 모임 당일 별도의 기자회견도 계획하고 있다.
충북지사를 지낸 정우택 최고위원(충북 청주 상당)도 1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현재의 의석 구조는 표의 등가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며 “선거구 획정 문제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도 박병석 국회부의장(대전 서갑)과 변재일 충북도당위원장(충북 청원), 양승조 최고위원(충남 천안갑), 박수현 충남도당위원장(충남 공주), 이상민 대전시당위원장(대전 유성) 등이 지난달 30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선거구 증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소속 이시종 충북지사는 최근 “영호남 중심의 지방 구도가 ‘영충호(영남·충청·호남) 중심으로 바뀌었다”는 주장도 폈다. 충청권의 새누리당 의원(14명)과 민주당 의원(11명)은 이 문제에 한목소리로 대응할 방침이다.
현재 충청 의석은 25석(세종 1석, 대전 6석, 충북 8석, 충남 10석)으로 호남 30석(광주 8석, 전북 11석, 전남 11석)에 비해 5석이 적다. 하지만 인구수는 건국 이후 처음으로 올해 5월 충청 인구가 호남 인구를 앞질렀다. 9월 말 현재 주민등록 인구는 충청이 526만3233명, 호남이 525만329명으로 충청이 1만2904명 더 많다.
세종시 건설과 아산 당진의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급속도로 유입된 것이 인구 역전의 이유로 꼽힌다. 내년 말까지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이 마무리되고 내년 7월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면 충청과 호남 사이의 인구 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청은 2016년엔 충청 인구가 호남보다 30만 명가량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장우 의원은 “충청의 인구와 생산성이 호남을 추월했는데도 의석이 적어 충청의 정치적 위상이 저해되고 실질적 발전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며 “충청 의원 모두가 똘똘 뭉쳐 의석수 증원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호남지역 의원들은 선거구 개편 움직임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 민주당의 한 호남 중진 의원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선거구 문제는 정치개혁특위에서 논의를 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호남지역처럼 농촌 지역이 많은 곳은 도시보다 인구수는 적어도 지역을 대표할 국회의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구수를 기준으로 선거구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