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사이버사령부 압수수색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23일 03시 00분


트위터 정치댓글 의혹 정식수사 착수… “글올린 4명 상부 지시 없었다고 진술”

지난해 대선과 총선 때 국군사이버사령부(사이버사) 일부 요원들이 트위터와 블로그에 정치적 성향의 글을 올린 사건에 대해 군 당국이 22일 정식 수사에 착수했다.

국방부는 이날 ‘사이버사 댓글 의혹 관련 합동조사 중간결과’를 발표한 뒤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철저하고 투명하게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수사의 초점은 해당 요원들이 정치적 글을 올리는 과정에서 상부 지시 등 조직적 개입이 있었는지와 다른 기관과의 연관성 등을 밝혀내는 것”이라며 “이들이 작성한 정치적 글 일부를 삭제한 경위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 조사본부가 이날 사이버사의 지휘계선과 관련 부서에 대한 압수수색을 했다고 군 당국은 전했다. 조사본부는 사이버사 심리전단 요원과 간부들의 컴퓨터와 개인서류, 상부로부터 받은 공문 등을 압수해 정밀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이번 수사를 위해 10여 명의 사이버전문가가 포함된 별도의 수사본부가 꾸려졌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합동조사 결과 “언론에 보도된 4건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이 사이버사 소속 군무원 3명과 현역 부사관 1명의 것으로 확인됐다”며 “본인들도 자신의 계정이 맞다고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개인적 생각을 표현한 것일 뿐 별도의 (상부) 지시는 받지 않았다”고 진술했다고 군 당국은 전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이날 야당 등에서 제기한 사이버사의 정치적 댓글 관련 의혹들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종명 전 국가정보원 3차장이 사이버사 1처장, 대북심리전단장 등과 같은 시기 합참 민군심리전부에 근무해 국정원과의 연계성이 의심된다는 주장에 대해 국방부는 “인사명령 기록에 따르면 3명이 같은 시기에 근무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또 국정원의 예산으로 사이버사를 통제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국정원으로부터 지원받는 예산은 없으며 정보 관련 예산은 국방부에 편성되는 국방비”라고 군 당국은 해명했다.

사이버사가 대선 전 대규모로 군무원을 선발해 활용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대선 전 대규모 선발이 아니라 2010년 1월 창설 때부터 매년 점증적으로 인원을 늘려왔다”고 군 당국은 밝혔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국방부#국군사이버사령부#트위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