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北해킹 원천차단 ‘사이버 MD’ 구축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29일 03시 00분


정부 ‘한국판 GIG 프로젝트’ 착수… 접근자 보안등급 판단해 침투 예방
‘스마트 검문소’로 국가 기간망 보호

정부가 북한의 사이버 테러 등에 대비해 국방 금융 에너지 등 주요 정보통신망의 보안 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영토를 방어하기 위해 미사일 방어체계(MD)를 구축하듯 사이버 안보를 위한 네트워크 방어망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면서 개인이나 기업 차원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국가 망 자체의 보안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추경예산에서 98억 원을 ‘지능형 망’ 관련 기술 개발에 처음 배정했다. 지능형 망은 주요 정보통신망의 길목(게이트웨이)에 ‘사이버 검문소’ 역할을 하는 ‘스마트 라우터’를 설치해 사이버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이다. 스마트 라우터는 접근자의 보안등급을 판단한 뒤 접근을 차등적으로 허용한다. 또 고도의 암호화 기술을 활용해 설령 망이 해킹을 당해도 정보가 유출되지 않게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관계자는 “ETRI는 지능형 망의 핵심인 라우터 기술과 모바일 기반 VPN(가상사설망) 기술을 이미 상당 수준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기술 개발에 들어간 지능형 망 구축 사업은 ‘한국판 GIG(Global Information Grid) 프로젝트’로 불린다. GIG 프로젝트는 미국이 2020년 구축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총체적 통신 보안 사업을 일컫는 말이다. 미국은 약 20억 달러(약 2조1200억 원)를 들여 2002년부터 국방부가 주축이 돼 미군과 자국 정보기관이 전 세계 인터넷 망을 해킹의 위험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최첨단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GIG 프로젝트와 관련된 기술은 안보 전략상 수출 금지 품목으로 지정돼 있다.

국내 보안업계는 한국판 GIG를 최종 구축하기까지 최소 5000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래부 관계자는 “엄청난 자금이 필요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실제 지능형 망은 기술 개발 결과를 지켜본 뒤 전문가 공청회를 거쳐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북한 해킹#사이버 MD#GIG 프로젝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 2013-10-29 04:53:29

    주적에게 국가기밀을 통체로 넘겨주기 위해 국고로 e-지원을 만든 고정간첩 무현이를 북핵도우미 대중이와 함께 부관참시하고 간첩 잡는 국정원과 대북심리전을 펼치는 군사이버사령부를 음해하고 없애려고 발광하는 종북반역자들은 모조리 찾아내 극형에 처해야 한다.

  • 2013-10-29 05:20:48

    노무현 김대중 민주당 추종자들이 국정원 해체 노리고 알맹이도 없는 국정원댓글로 국정원이 힘을 못쓰게 거의 1년동안 국정원댓글 타령 이어 국가마다 사이버공격으로 고심하는데 사이버사령부도 국정원처럼 죽일려고 사이버사령부 댓글 공격하는 민주당 노무현 추종자들입니다

  • 2013-10-29 06:51:10

    최선은 방어가 아니고 공격이다, 미국의 정보기관에서도 뚫지 못하는 북한의 인테넷 사이트를 공격하여 무력화 시킭 기술은 없는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