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사망 2주기 행사의 최대 관심사였던 김경희 북한 노동당 비서(사진)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와 중앙추도대회행사 참석은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그가 불참한 이유는 네 가지 유력한 시나리오로 분석해볼 수 있다.
①시나리오 1: 너무 위독해서?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김경희의 건강 문제다. 그가 마지막으로 공개 행사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9월 초 북한 정권 창립 기념공연장에서다. 당시 기력이 없고 여윈 모습이었다. 김경희가 행사에 참석하지 못할 정도로 건강에 문제가 있다면 이 또한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숙청과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김경희가 조카의 권력 안정을 위해 남편의 숙청을 용인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김경희의 건강이 남편의 처형을 막지 못할 정도로 악화됐기 때문일 수도 있다.
②시나리오 2: 조카가 괘씸해서?
남편을 처형한 조카를 괘씸하게 여긴 김경희가 자의적으로 추도식에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북한에서 현재 자신의 의지대로 공식 행사에 불참할 수 있는 인물은 김경희가 유일하다. 김정일도 생전에 김경희의 고집은 이기지 못했다. 김정은의 모친 고영희도 김경희 앞에선 최대의 예의를 표하며 조심스럽게 행동했다. 아무리 무소불위의 권력을 쥔 김정은이라도 고모가 불참하겠다고 작정했다면 이를 강제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③시나리오 3: 민심 의식해서?
장성택 처형 이후 김정은과 더불어 불만을 가진 북한 주민들로부터 가장 큰 비난을 받은 인물이 바로 김경희다. 장성택 처형 사유는 ‘천하의 만고역적’이었다. 주석단에 ‘만고역적의 부인’이 버젓이 앉아 있으면 “다른 사람은 몇 대를 멸족시키면서 너무하지 않냐”는 부정적인 여론이 생길 수도 있다. 김경희 불참은 주민들에게 자숙한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
④시나리오 4: 김정은의 권유로?
김정은이 고모의 불참을 권유했을 수도 있다. 장성택 처형을 계기로 이참에 주민들이 갖고 있는 “김정은은 장성택과 김경희의 섭정을 받는다”는 이미지를 없애고 자신이 유일한 절대 권력자임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다. 주민들이 받들어야 할 유일한 ‘백두혈통’이 김정은임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도 깔려 있을 수 있다. 김경희가 등장했을 경우 북한 내부와 국제사회의 관심이 그에게 집중되는 것을 경계한 조치라는 관측도 있다.
김경희의 불참은 이런 네 가지 시나리오가 복합적으로 고려된 결과일 수도 있다. 다만 어떤 조합인지를 단정하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13-12-18 04:41:02
이제 6.25로 수백만의 민족을 죽인 것도 모자라 무능으로 350만 북한 주민을 굶겨죽인 전쟁광살인마집단에 불과한 김씨일가의 봉건세습독재는 끝났다! 권력의 디딤돌이며 지주였던 장성택이 없는 무능한 살찐 돼지 정은이는 고립지세로 치닫는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는다.
2013-12-18 09:39:48
곧 최룡해등 강성군부와 한바탕 피보라가 칠것이여1 헌데 여기서는 강성군부에 의해서 유폐통제 될것이여 지금쯤엔 슬슬 내가 저지런 짓이 맞나아닌가를 열심히 골똘 생각하겠지 그러고는 모든것이 군부놈들때문이라고 결론 내리겠지 버릇대로 말이여 못한 것은 지금 장성택때문이랬듯이
2013-12-18 09:53:36
남편의 시신까지 수습못한 김경희가 등장한다면 북한 인민은 물론 대내외 관심이 집중되고 내부적 동정론도 등장할 수있어 김정은과 그 추종세력에겐 그다지 반갑지 않는 사태가 전개될 수있었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