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는 국회의 인준 과정을 통과하면 대한민국 헌정사상 최초의 기자 출신 총리가 된다.
언론사 출신 총리는 과거에 있었다. 동아일보 사장 출신으로 1963년 12월 3공화국 초대 국무총리에 임명된 최두선 전 총리다. 그러나 최 전 총리는 기자를 하지는 않았다. 2002년 8월 김대중 정부는 장대환 당시 매일경제신문사 사장을 총리로 내정했지만 국회 인준 투표에서 부결돼 임명되지는 못했다.
문 후보자의 내정을 놓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이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용인술을 벤치마킹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박 전 대통령이 자신에게 비판적이었던 최 전 총리를 내각 초대 총리로 임명해 불리한 언론환경을 타개하려 한 것을 염두에 둔 분석들이다.
최 전 총리가 동아일보 사장 재임 때 동아일보는 1961년 5·16군사정변 다음 날 “윤보선 대통령이 ‘혁명정부는 민간에게 속히 정권을 넘겨줘야 한다’라고 말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 ‘민정 이양’을 약속했던 박 전 대통령이 집권 이듬해 군정 연장 발언을 하자 이 역시 혹독하게 비판했다. 1962년 10월 대선 때도 박 전 대통령을 비판하는 기사를 다뤘다. 당시 동아일보 기자였던 이만섭 전 국회의장은 “박 전 대통령은 당시 동아일보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했지만 최 전 총리의 기백을 높이 샀고 총리로 발탁하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문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말기인 2011년 4월 ‘박근혜, 왜 MB권력을 훼손하려 하는가’라는 내용으로 박 대통령에 대해 비판적 칼럼을 썼던 일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문 후보자가 박 대통령과 여당에 대해 일관되게 반대편에 서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전체적으로는 친여 성향에 가깝다는 것이다. 야권은 문 후보자가 중앙일보 논설실장 등을 역임할 당시 여당이던 열린우리당(현 새정치민주연합 전신)에 비판적이고 상대적으로 현재 여당에 우호적인 칼럼을 많이 썼다고 보고 있다.
새정치연합의 수도권 재선 의원은 “우리가 볼 때 문 후보자가 균형감각을 갖춘 언론인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면서 “박 대통령이 아버지처럼 정치적 반대자를 폭넓게 아우르는 용인술을 따라했다고 말하기도 어렵다고 본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