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교육감 당선자들이 속속 인수위를 구성해 발표하고 있다. 인수위 인물들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이들이 구상하는 정책의 핵심 키워드가 도출된다. 바로 ‘혁신학교’다. 특히 진보 교육감 벨트의 핵심인 서울과 경기의 경우 직·간접적으로 혁신학교와 관련된 인사들이 이번 인수위에 다수 포진해 있다는 평가다.
이번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된 13명의 진보 교육감은 공통적으로 혁신학교 확대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혁신학교는 주입식 교육을 벗어나 자기주도적인 맞춤형 교육을 한다는 목표를 내걸고 운영되는 학교지만 그 성과를 두고선 진보와 보수 진영의 평가가 크게 엇갈린다. 혁신학교는 2009년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이 주도해 이후 1기 진보 교육감 지역들로 확산되면서 현재 6개 시도에 579곳이 있다.
○ 혁신학교 등 공약 실천에 초점
진보 교육감 당선자들의 인수위는 11일 경기 부산, 12일 서울 경남 등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각 인수위는 저마다 혁신학교 등 정책 실현에 우선순위를 둔 ‘실무형 인사’를 중심으로 구성됐다고 밝히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당선자는 10일 신인령 전 이화여대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서울특별시교육감직 인수위를 발표했다. 인수위원은 모두 12명. 신 전 총장은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여성부의장 등을 역임했다. 당선인 측 관계자는 “신 전 총장은 혁신학교 등 각종 교육 현안에도 조예가 깊어 당선자와 정책 조율이 잘 이뤄질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EBS ‘지식채널e’ 프로듀서 출신인 김진혁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도 인수위원에 포함됐다. 각종 진보 성향 교육정책을 실무적으로 구현하는 데 적합하다는 것이 당선인 측의 설명. 성열관 경희대 교수는 혁신학교의 교육적 평가를 다각도로 분석해 온 혁신학교 전문가로 꼽힌다. 한편 이번 인선을 두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절대 다수 위원이 진보 성향으로 채워졌다. 곽노현 시즌2가 연상된다”고 비판했다. 교총은 특히 지도위원 및 자문위원의 성향이 진보 일색이라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9일 발표된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당선자의 인수위 명단에도 혁신학교 등 정책 관련 인물이 다수 포진해 있다. 이른바 1기 혁신학교 3인방으로 꼽히는 서길원(보평초) 이준원(덕양중) 이범희(흥덕고) 교장도 인수위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인수위원으로 위촉된 성기선 가톨릭대 교수는 이 당선자의 고교 평준화 확대 공약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 당선자 측의 관계자는 “고교 평준화는 그대로 혁신학교 확대와도 연결되는 사안”이라면서 “성 교수의 시각이 혁신학교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충북의 첫 진보 교육감인 김병우 충북도교육감 당선자도 인수위 명단을 발표했다. 당선자의 혁신학교 공약을 가다듬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엄기형 한국교원대 교수가 위원장으로 위촉돼 눈길을 끌었다. 경남의 첫 진보 교육감인 박종훈 당선자의 인수위에도 12명 중 7명이 교육정책 전문가이다.
○ 1기 진보정책 확대 계승에 비중
2기 진보 교육감 당선자들이 인수위에 혁신학교 등 정책에 초점을 맞춘 인물을 다수 포진시킨 이유에 대해선 다양한 분석이 나온다.
우선 당선 직후부터 지나치게 이념에만 초점을 맞춰 ‘편 가르기’ 인사를 하면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도 있다는 전략적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코드 인사’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1기 진보 교육감들을 통해 교훈을 얻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사실상 처음 진보 교육감 시대를 열면서 각종 진보 성향 정책을 공격적으로 시도해야 했던 1기 때와 달리 수적으로도 절대 우위인 데다 정책을 확대 계승하는 데 더 비중을 둬야 하는 상황 역시 인수위 구성에 반영됐다는 것이다.
이제 이들 정책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선 어떤 모습을 보일지가 관심사다.
먼저 현장의 체감 변화가 가장 클 것으로 보이는 혁신학교 정책을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할 만하다. 선거전 과정에서는 자율형사립고 존폐 공약이 쟁점이 됐지만 혁신학교는 유치원부터 초중고교에 이르는 공교육 전 과정에 걸친 시스템이기 때문에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이 더 많다. 1기 교육감 시대에 급증한 혁신학교에 대해 교육방식은 선구적이지만 학력은 떨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공교육 변화에 대한 열망이 큰 학부모들은 혁신학교가 기존의 장단점을 절충해 현장 친화적인 모델로 발전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1기 시절 진보 진영과 당시 교육과학기술부 사이의 대립이 심했던 학생인권조례 문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단체 행동에 대처하는 방향 등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학생인권조례의 경우 학생 개개인의 인권을 존중하자는 취지는 좋았지만 교사와 학부모들은 도가 지나치다는 부정적인 반응도 많았던 대목이라 2기 진보 교육감들은 절충점을 모색할 가능성도 크다.
다만 전교조와 관련된 문제에서는 진보 교육감들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미지수다. 당장 청와대 게시판에 글을 올린 교사들의 징계 문제가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