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14일 2기 내각의 조속한 출범을 예고했다. 정국의 ‘태풍의 눈’이었던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거취 문제를 빨리 매듭짓겠다는 메시지로 읽혔다. 하지만 다음 날 박 대통령은 정 후보자 임명 강행 수순을 밟아 논란을 키웠다. 그런 정 후보자가 하루 만에 자진 사퇴했다. 이런 ‘예측 불가’ 인사는 누가 봐도 비정상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유진룡 문체부 장관의 면직(免職) 사실을 ‘신속히’ 전했다. 후임자도 아직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그의 면직을 두고 온갖 추측이 난무했다. 입바른 소리를 해서 박 대통령에게 찍혔다는 얘기가 ‘정설’처럼 퍼지고 있다. 면직 공개 자체가 처음이니 뒷말이 나오지 않는 게 이상하다. 이런 ‘추측 난무’ 인사는 누가 봐도 비정상이다.
민 대변인은 같은 날 대통령홍보수석실 내 비서관 자리 교체를 공개했다. 14일부로 김진각 홍보기획비서관과 천영식 국정홍보비서관이 자리를 맞바꿨다는 것이다. 홍보기획비서관은 홍보수석실 선임이다. 김 비서관은 청와대 근무 3개월 만에 사실상 좌천된 셈이다. 홍보수석실은 이를 쉬쉬하다 언론이 취재하자 뒤늦게 공개했다. 이런 ‘얼렁뚱땅’ 인사는 누가 봐도 비정상이다.
이영상 부부장검사가 14일 사표를 낸 뒤 다음 날부터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하고 있다는 사실이 18일 언론보도로 알려졌다. 검사가 청와대 근무를 위해 사표를 낸 뒤 임용 절차를 거쳐 다시 검찰로 돌아가는 것은 대표적 ‘적폐’다. 청와대 파견을 금지한 검찰청법을 피하려는 꼼수인 탓이다. 이런 꼼수 금지는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 하지만 공약은 빈말이 된 지 오래다. 이런 ‘약속 파기’ 인사는 누가 봐도 비정상이다.
이 모든 게 1주일간 벌어진 일이다. 가장 강력한 대국민 메시지라는 대통령의 인사가 온통 뒤죽박죽이다. 유일한 메시지는 하다하다 안 되면 국회의원을 장관 후보자로 내세운다는 것뿐이다. 인사 원칙부터 바로 세워야 ‘비정상의 정상화’도 힘을 받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