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 수사 확대 신호탄?… 특수1∼4부, 21명서 27명으로
‘BBK 특검’ 등서 활약한 신봉수 등… 정관계-재계수사 베테랑들 보강
檢관계자 “또 다른 대형수사 예상”… 일각선 “사실상 중수부 부활”
검찰이 최근 국회의원 비리 혐의 수사를 진행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부에 수사 경험이 풍부한 ‘특수통’ 검사들을 집중 배치했다. 지난달 ‘관피아(관료+마피아)’ 비리에 연루된 현직 국회의원 4명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정관계 수사를 벌이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에 인원을 보강한 배경을 두고 “하반기에 대대적인 사정(司正) 수사가 진행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1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1∼4부는 지난달 25일 법무부 인사 때 발령을 받은 검사 2명에 다른 검찰청이나 서울중앙지검 형사부 등에 소속된 검사 7명을 직무대리 형식으로 파견받았다. 인사에서 전출된 검사 3명을 제외하면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검사가 21명에서 27명으로 늘어났다. 정식으로 전보된 검사보다 많은 인원을 파견으로 보강한 이례적인 결정이다. 특수1∼4부에 속한 검사는 기존의 각 6, 6, 5, 4명에서 각 7, 7, 7, 6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1일부터 본격적인 수사 업무에 투입됐다.
특수부에 새로 배치된 검사 대다수는 정관계 및 대기업 수사 경험이 풍부하고 검찰 내에서 이름난 특수통들이다. 대전지검 서산지청 소속으로 특수4부 부부장검사로 파견된 신봉수 검사(사법연수원 29기)는 2008년 ‘BBK 의혹 특검 수사팀’에 이어 2010년 ‘스폰서 검사 진상조사단’에서 활동했고 지난해 CJ그룹 수사에도 참여했다. 신규 배치 검사 9명이 반부패 사범 단속 공로 등으로 받은 검찰 표창장도 알려진 것만 8개에 이른다.
올해 4월부터 전국 검찰청에서 동시 다발로 세월호 관련 수사가 진행돼 일선의 수사 공백이 적지 않은 상황임에도 서울중앙지검 특수부 인력을 보강한 것은 대규모 사정 정국에 대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표적’을 미리 정해 둔 건 아니지만 전문 인력이 보강됐으니 또 다른 대형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를 놓고 “사실상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 준하는 대형 비리 상설 수사팀을 부활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대검 중수부는 지난해 4월 폐지되기 전까지 수사 검사를 평상시 9명, 비상시 25∼30명을 운용하며 권력형 비리와 대형 경제범죄를 수사해왔다. 이번에 충원된 인력을 감안하면 서울중앙지검 특수부가 과거 대검 중수부와 비슷한 규모로 확대된 셈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