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분석]사드, 더는 ‘3NO’ 뒤에 못숨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5월 20일 03시 00분


케리 언급, 한국 모호성에 불만 표출
유승민 “한미 정상회담서 논의를”… 정부 “사드 군사적 효용성 파악중”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방한 중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사드 논란이 재점화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다음 달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사드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달 말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도 사드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19일 “케리 장관은 사드 문제의 민감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당국자라는 점에서 18일 언급은 의도된 발언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3NO(요청, 협의, 결정 없음)’ 방침 고수로 양국 간 ‘사드 엇박자’가 반복되고, 동맹 갈등으로 비치는 데 대한 미국의 불편한 속내가 담겨 있다는 얘기다.

북핵 위협에 대응해 한미 양국이 사드 문제를 공론화해 결론을 내려야 하는데 한국이 중국 등 주변국과의 관계를 의식하며 모호한 태도로 일관하는 상황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는 게 케리 장관의 ‘진의’라는 분석도 나온다.

외교부와 국방부는 ‘3NO’ 방침에 변화가 없다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불씨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3NO’ 방침이 한계에 봉착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처럼 사드 문제도 한미 양국 정상이 머리를 맞대고 담판을 지을 사안이라는 얘기다. 새누리당의 유승민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지난해부터 미 국무부, 국방부, 주한미군의 핵심 인사들이 사드 등 미사일방어를 언급하고 우리 정부는 계속 ‘3NO’를 말하는 상황”이라며 “한미동맹의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드 문제가 6월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가 돼야 한다”며 한미 당국 간 적극적인 논의를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 정부는 사드가 방어력 증강 등 군사적 효용성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지를 군사 실무적 차원에서 파악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미 육군의 기술 교범과 인터넷 관련 자료 등 (사드 관련 정보를) 수집 중”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장택동 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5

추천 많은 댓글

  • 2015-05-20 05:01:40

    사실 우리가 배치해달라고 요청해도 뭐한데... 꺼꾸로입니다. 북이 핵미사일 우리에게 쏘면 중국이 막아주나요? 핵미사일이 터지면 국민이 조금만 죽나요? 1/3만 요격하는것이라도 배치해야합니다. 핵이 터지면... 수십만이 죽거나 고통받습니다.

  • 2015-05-20 06:01:36

    북한의 핵을 막지 못하는 중국에게 더이상 눈치보지 말자. 우리의 동맹국은 미국임을 기억하자. 그러므로 사드는 우리나라에 당연히 배치되어야 한다.

  • 2015-05-20 08:13:47

    정말 한심하다. 중국눈치보고.러시아눈치보고 북한눈치보고 한국내 좌파종북세력눈치보고..이러니 대한민국이 북한핵에 완전 무방비상태인데도 당연히 해야할일 조차 하지못하다니..어떤 자들은 한국사드가 미국과 일본을 위해서 있는거란다?? 견소리. 한국에 배치되는 "사드미사일"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