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만성 담마진이라는 피부 질환 때문에 병역 면제를 받은 것과 관련해 피부 질환 확정 판정이 나기 전에 병역 면제 처분을 먼저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에 따르면 황 후보자의 병적기록표에 적힌 제2국민역(민방위) 편입 날짜는 1980년 7월 4일이다. 그러나 국군수도통합병원이 황 후보자의 만성 담마진을 판정한 날짜는 6일 뒤인 7월 10일로 기록돼 있다. 상식적으로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황 후보자 측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인사청문회에서 설명하겠다고 말했다.
단순히 날짜의 선후가 바뀐 것만을 갖고 병역 의혹을 사실로 단정하긴 어렵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병적기록표의 피부 관련 항목에 ‘이상’이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보면, 신검 시 발견된 이상에 대해 병원에서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신검 날짜에 맞춰 병역 면제 판정을 기록했을 수도 있다. 현행법으로는 안 되는 일이지만 당시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병무청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곡절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황 후보자는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해명 대신에 “청문회에서 상세하게 밝히겠다”는 식으로 피해 가는 것을 거의 공식처럼 쓰고 있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다 거짓말 의혹이란 혹까지 생겨나 곤욕을 치른 이완구 전 총리의 전철을 피하고, 언론의 잇따른 보도로 의혹이 증폭되는 것을 막겠다는 전략이겠지만 당당해 보이지 않는다.
이 전 총리에 이어 황 후보자까지 정상적인 병역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총리감이 이렇게 없느냐는 탄식이 절로 나온다. 고시 합격하고 탈 없이 공직 생활 하고 국회의원 장관 도지사까지 지낸 사람들이 병역의무 앞에서는 왜 한없이 약해졌는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아들을 군에 보내 놓고 걱정하는 국민 정서를 고려하더라도 황 후보자의 병역 면제 처분에 한 점 의혹이 남아서는 안 된다. 의혹이 사실이거나 해명할 자신이 없다면 황 후보자는 스스로 사퇴해야 옳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