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8일 국회의원 정수를 현행(300명)대로 유지하기로 합의하면서 여야의 공천-선거제도 ‘빅딜’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주장하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은 의원 정수를 늘리려는 새정치민주연합의 ‘꼼수’라며 반대해 왔다. 하지만 의원 정수가 동결된 만큼 여야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와 권역별 비례대표 빅딜 문제를 다시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이다.
정치권에선 빅딜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 않는다는 관측이 많다. 새정치연합 혁신위원회가 19일 현역 의원 20% 물갈이 방안을 발표함으로써 전 지역구 후보를 완전국민경선을 통해 선출하는 방안이 사실상 무산됐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
당장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가능성에 회의적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정현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완전 개방형 국민 경선을 실시할 때 누구나 예측할 수 있는 역선택이라는 문제점이 있다”며 “경선 참여율이 낮고, 상대방이 똘똘 뭉쳐 지지자가 역선택하면 큰 판세가 뒤집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비박(비박근혜)계인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은 “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합의한다는 전제 하에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을) 좀 더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이번 국회에서 확정해야 한다”며 두 제도의 ‘맞교환’을 주장한 데 대한 반박이었다.
친박이 오픈프라이머리에 반대하는 배경엔 야당이 결국 이 제도를 거부할 것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야당의 거부로 새누리당만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오히려 총선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는 문제 제기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제1 공약’으로 내세운 김무성 대표의 생각은 확고해 보인다. 그는 회의 직후 기자들을 만나 이 최고위원의 지적에 대해 “그건 이 의원의 생각”이라고 일축했다.
새누리당은 조만간 오픈프라이머리의 구체적 추진 방안을 새정치연합에 제안할 계획이다. 당 국민공천제추진 태스크포스(TF) 관계자는 “선거법에 A당 당원이 B당 완전국민경선제에 참여할 경우 처벌하는 조항을 신설하면 역선택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새정치연합이 의원 20%를 물갈이하겠다면 80%에 대해서만 완전국민경선제를 도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가 무산될 경우 리더십 자체가 흔들릴 수 있는 김 대표가 어떤 정치적 승부수로 ‘공천 개혁의 파고’를 돌파할지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