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합의문 수준으로 채택하려고 여기까지 온 게 아닙니다. 강하고 야심찬 새 합의를 도출하려고 왔습니다. ‘2도’라는 목표를 달성하려면 법적 구속력 있는 신기후체제가 필요합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1일(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주요 협상그룹 중 하나인 환경건전성그룹(EIG) 대표로 기조발언을 했다. EIG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 중간자적 입장을 표명하는 그룹으로, 한국 스위스 멕시코 모나코 리히텐슈타인 등 5개국으로 이뤄져 있다. 한국이 대표로 기조발언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장관은 회원국의 90%가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INDC)를 제출한 것에 대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는 있지만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각국이 제출한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법적 구속력을 갖춘 글로벌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어 “지속가능한 합의를 이끌어 내려면 각 회원국들의 능력과 상황에 맞게 의무를 부여하는 현실적이고 유연한 접근을 해야 한다”며 선진국과의 차별적 접근을 주장하는 개도국의 입장을 지지했다. 개도국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정 지원과 관련해서도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빈국 지원을 위해 ‘기후 재정(climate finance)’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이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을 이행하기 위한 강력한 투명성 체제(측정 보고 검증)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개도국을 향한 선진국의 메시지에도 힘을 실었다.
한편 한국은 총회가 열리고 있는 파리의 르부르제 전시장에 한국관을 설치하고 물과 폐자원,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건물 등 4가지 분야에서 총 6개의 기술을 모형과 함께 전시하고 있다. 11일 폐막까지 이곳에서 26개 세미나를 진행해 모두 30개 친환경 기술과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해외에 소개할 방침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