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연동형 비례, 도저히 못받아”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2월 16일 03시 00분


[막 오른 4·13 총선]선거구획정 여야 담판 결렬
與, 노동개혁 등 쟁점법안 처리 위해 선거연령 낮추는 野 주장 한때 검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5일 오후 6시경 선거구 획정 담판 회동을 마친 뒤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대표실로 들어섰다. 표정은 무척 어두워 보였다.

“(여야 간) 합의를 보지 못해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고 운을 뗀 그는 “지역구를 253석으로 하고 비례대표는 7석 줄이는 방안에 잠정적으로 뜻을 모았지만 야당이 요구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새누리당이 도저히 받을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은 경제 활성화 법안을 비롯해 노동 개혁 5개 법안 처리를 위해 새정치민주연합이 제안한 선거제도 중 선거 연령을 만 18세(고등학생은 제외)로 낮추는 내용까지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한다. 야당은 새누리당의 ‘경직된 협상 태도’를 문제 삼았다.

6시간 50분가량 이어진 여야 협상은 결국 결렬됐다. 이날 정개특위 활동이 공식 종료되면서 앞으로 선거구 획정 협상은 소관 상임위인 안전행정위원회에서 논의키로 했다. 이종걸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실망스럽다”면서도 “다만 논의되고 있는 쟁점 법안과 관련해 양당이 요청하는 법안에 대해서는 심도 깊게 논의해 합의에 이르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회동 직후 16일 오전 11시 입장 발표를 예고했다. 선거구 획정을 위한 공직선거법 직권상정과 관련한 입장 표명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 의장 측은 심사기일 지정 마지노선을 28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새정치연합은 “절대로 직권상정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는 “선거구 획정은 여야의 견해차에 따른 협상의 문제이지, 국가비상사태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의장에게 어떤 일이 있더라도 끝까지 협상을 중재하도록 요청했다”고 했다.

한편 여야는 이날 △예비후보의 홍보물 발송 범위를 선거구 가구 수 10% 이내에서 모든 가구로 확대하는 방안 △공천 가산점을 받는 신인·여성·청년·장애인이 경선에 불복하면 해당 선거에 출마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에 합의했다.

강경석 coolup@donga.com·홍정수 기자
#선거구획정#새누리당#김무성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15-12-16 05:27:01

    직권상정?이 불법이냐? 불법이면 하지말며 합법이면 해야된다. 정치쟁이들은 불법,합법을 구분못하나? 순리 법대로 하면된다.그리고 비례대표,연동? 이런것 하등 필요없이 그냥 단순한 선거법으로 잔꽤 못부리고 투표수로 간단하게해라,정치쟁ㅇ들이 원체 산술공부를 제대로 않해서

  • 2015-12-16 05:09:08

    아뭇튼 비례대표 올리자 하는당은 국민들이 목아지 비튼다 말하니 참고 하거라... 으쟁이 뜨쟁이 비례대표 만들어 막말하는자들 때문에 사회가 너무 어지럽다고 국민들은 말한다 옳바르고 지성적이고 나라 위하는 그런 분들만 골라 비례대표로 줄세워라...

  • 2015-12-16 09:49:46

    비겁하고 더러운 똥뺏지들의 특권을 없애야 나라가 살아난다!!! 똥뺏지들을 1)스위스처럼 무보수 명예직으로하고 2)미국처럼 인구 58만명당 1명해서 87명이하로 해야한다!!! 300명의 똥뺏지들이 작년에 국민세금을 1명당 77억 총2조3,000억원 써댓다는거 아는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