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이 27일 베이징(北京)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처음 만나 ‘강력한 대북 제재’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구체적인 제재 내용에는 합의하지 못했다. 케리 장관은 이날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양제츠(楊潔지) 국무위원도 만났다.
미국은 중국에 대북(對北) 원유 수출 중단, 북한의 석탄과 철광석 수입 중단, 북한 항공기의 중국 운항 금지 등 강경한 제재 조치를 요구했지만 중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북 제재에 키를 쥔 중국이 강력한 제재에 사실상 반대의 뜻을 나타냄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표결 자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케리 장관은 이날 오후 왕 부장과 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과 장거리 미사일 등을 통해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며 “미국은 우리의 국민과 세계 각국에 있는 동맹, 그리고 친구들을 보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은 (북한에 대한) 중국의 특별한 능력을 믿는다”며 중국이 대북 압박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이에 왕 부장은 “제재는 목적이 아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한반도 핵문제를 협상 궤도로 되돌려 놓는 것”이라며 미국의 제재안을 사실상 거부했다. 그는 “한반도 비핵화,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한반도의 평화 안정 중에서 그 어느 것도 빠져서는 안 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시 주석도 이날 케리 장관을 만나 “중-미가 대립하지 않고 협력하면 세계를 위해 유익한 공헌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중국을 압박하기보다는 함께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우회적으로 전한 것이다.
한편 북한이 4차 핵실험 후 한미 양국의 민간 분야는 물론이고 군사 분야에도 수시로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미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26일(현지 시간) 발간한 보고서 ‘북한 사이버 작전: 전략과 대응’에서 “급변 사태가 없는 한 북한은 한미 양국에 다른 군사적 도발에 비해 저비용인 데다 직접적 보복 가능성이 작은 사이버 공격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정준희 대변인은 북한 정찰총국이 삼성을 겨냥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등 사이버 도발을 일으켰다는 본보 보도(25일자 A1·4면)에 대해 27일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댓글 36
추천 많은 댓글
2016-01-28 04:06:22
중국이 아닌 중공은 제2의 한ㄱ구전을 일으키려고 북괴와 손잡으려 하는가? 북괴는 중공의 양아들이다 이제껏 북괴의 패륜을 눈감아주고 길러주는데 총력을 하고 있다 북괴의 핵실험도 중공의 비호로 이루어 지고 있느바 우리도 생존을위한 핵개발이나 사드배치를 조속 결정하라
2016-01-28 08:03:06
이쯤되면 박대통령은 오바마와 담판을 지어야한다 중국의 몽리에 맞서 한국이 입을 피해를 미국이 적극 방지 보충해주겠다는 보장을 받고 전술핵무기 한반도 재배치와 사드 배치를 결정하라 중국이 두마리 토끼를 쫓다가는 모두 놓친다는 것을 보여줘야 저들도 알아듣는다
2016-01-28 07:18:53
미국은 중국에 희망을 갖지말라,중국측에 한국과 일본 대만에 핵무기 갖는것을 묵인 하겠다는 말 한마디만 해라, 그러면 모든것이 미국 의도대로 될테니까, 이 말한디하기가 그리도 어려운가? 그렇치 않으면 면날 만나 말해도 아무련 소용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