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주말 총선 지원 첫 일정으로 광주·전남을 찾아 “호남인의 소망이 뭔지 잘 안다. 완벽하게 대변해 드리겠다”고 다짐했다. 정치권에서는 ‘호남인의 소망’을 김대중(DJ) 전 대통령을 계승할 ‘호남 대통령론’으로 이해한다. 김 대표도 지난달 이른바 ‘광주 선언’에서 제2, 제3의 DJ로 자라날 차세대 지도자를 키우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호남은 DJ 이후 여야 어느 쪽이든 대통령 후보를 갖지 못한 데 내심 불만이 커지고 있다. 김 대표의 발언은 호남인의 심리적 박탈감에 응답 또는 영합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김 대표는 “나도 광주에서 초등학교를 졸업했고 중학교를 다녔다. 뿌리가 호남”이라고 말했다. 그는 서울 인근에서 태어나 서울의 덕수초등학교에 입학했고 6·25전쟁 때 광주로 피란해 서석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광주서중을 1년 반 다녔다. 이후 서울에서 중앙중고를 졸업했다. 김 대표가 전북 순창이 고향인 김병로 초대 대법원장의 손자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광주에서 초·중학교를 다녔다는 것은 처음 듣는 사람이 많다. 과거 인터뷰에서 호남 연고(緣故)를 부인했던 김 대표가 평소 안 하던 이야기를 갑자기 꺼낸 것인데 ‘호남 구애’가 급해도 정도가 지나치다. DJ처럼 호남을 발판으로 ‘킹’을 해보려는 것일까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들도 있다.
김 대표는 국민의당을 겨냥해 “광주·전남 유권자들을 희롱하고 있다”며 “왜 호남 정치를 분열하는 데 앞장서야 하느냐”고 말했다. 더민주당에서 분당한 국민의당은 ‘호남 자민련’으로 전락할 우려가 없지 않다. 그렇지만 더민주당이 그동안 호남에서의 독점적 지지가 당연하다는 듯 국민의당을 향해 분열 운운한 것도 오만하게 들린다.
호남 지역주의에 관해서는 국민의당은 입을 다물어야 할 처지다. 천정배 공동대표는 김 대표가 참배하고 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어제 “‘민족·광주·민주’ 등 세 가지가 없는 사람”이라고 비난하며 “정권 교체는 역사적으로 소외받고 경제적으로 낙후된 호남이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리적 비약으로 가득한 이런 주장은 호남 지역주의에 기대려는 이 당의 허약함을 여실히 보여준다.
양김(兩金) 시대의 종언 이후 정치권에 남겨진 숙제는 지역주의의 극복이다. 인구수로 볼 때 지역주의에 기대서는 호남 정당이 다수당이 되거나 집권의 꿈을 꾸기 어렵다. 더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호남을 지역주의의 틀에 가둘수록 사실상 호남을 배신하는 결과를 초래하기 쉽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댓글 15
추천 많은 댓글
2016-03-29 07:28:04
호남 분들 들어보소. 호남, 영남이란 말을 쓰지 말아야 호남이 승리할 수 있소. 호남이란 구호로 뭉치면 영남은 더 단단히 뭉치니 영남을 느슨하게 하여 틈새를 노려야지요. 제발 지역감정을 부추기는 사람은 국회로 보내지 맙시다. 나라 망칩니다.
2016-03-29 09:37:57
더러운당이든 회색당이든 모두 호남당 그러다가 선거 끝나면 다시 전라도 당으로 합칠거면서 지금 쇼를 하고 있다.
2016-03-29 10:07:36
국민여러분! 국회의원 300명이 국민세금 얼마쓰죠? 2014년에만 2조3,000억, 1명당 77억원, 단연 세계1위! 해결책! 1)대통령 헌법개정(안)발의 2)스위스처럼 무보수 명예직 및 3)미국처럼 인구 58만명당 1명, 87명이하 조항포함 4)국민투표로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