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A국에 주재하는 북한 중견 외교관 일가족 4명이 지난해 5월경 한국에 망명한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또 아시아 B국의 북한 주재원은 올해 2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움직임이 시작되자 망명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내 북한 식당 종업원 13명이 7일 집단 망명한 가운데 전해진 이 같은 소식은 해외에 체류하는 북한 외교관, 주재원들의 잇단 망명 움직임을 예고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부는 북한 김정은 체제의 취약성이 해외에서 먼저 드러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를 의식한 듯 통일부 당국자는 10일 “북한 식당 종업원 망명과 같은 집단 탈출 사례가 추가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복수의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아프리카 A국 대사관의 경제 담당 외교관(50대)은 지난해 5월 부인, 두 아들과 함께 한국에 망명했다. 숙청 등 신변 위협이 두려워 망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공관에서 외화벌이 등을 통한 상납금을 강요하는 김정은 체제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외교관의 망명을 막기 위해 본국에 자녀를 두고 해외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아 외교관 일가족이 망명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공식 확인된 사례는 1998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북한대표부의 김동수 서기관 일가족 3명, 2000년 태국 주재 대사관 홍순경 참사관 일가족 3명 정도에 불과하다.
이는 북한에도 큰 충격을 안겨준 것으로 보인다. 이 외교관 일가족이 망명한 지 두 달 뒤인 지난해 7월 김정은은 전 세계 북한 공관장들을 전격적으로 불러들여 대사 회의를 열고 처음으로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 소식통은 “아시아 B국의 북한 주재원은 올해 대북제재 이후 외화벌이에 어려움을 겪어 해외 공관원 축소와 소환 움직임이 있자 ‘북한에 돌아갈 수 없다. 망명하겠다’는 의사를 주변에 밝힌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정부 당국자는 “아무리 체제를 통제해도 해외에 나가 있는 북한인들은 자유로운 사회와 자본주의 체제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A국 주재 북한 외교관의 아들은 삼성 휴대전화를 사용했고 B국 주재원은 북한으로 돌아가면 자녀의 교육에 문제가 생긴다고 걱정했다고 한다.
한편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한 중국 내 북한 식당은 저장(浙江) 성 닝보(寧波)의 ‘류경식당’인 것으로 확인됐다. 식당 관계자에 따르면 종업원들은 5일 밤∼6일 새벽 무렵 집단으로 사라졌고 현재 영업을 중단한 상태다. 종업원들은 지난해 말까지 지린(吉林) 성 옌지(延吉)의 ‘류경식당’에서 근무했다고 현지 소식통은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