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10월 6차 노동당대회에 외국 사절을 초청하려던 북한의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한국이 총력 외교를 펼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교부가 17일 공개한 1980년대 외교문서에 따르면 정부는 1980년 9월 4일 전 재외공관에 전문을 보내 ‘북괴노동당 전당대회 각국 초청동향’을 파악하고 주재국 정부 대표단 파견을 저지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은 총 32개국에 당 대회 참석을 초청했고 이 중 25개국이 참석을 결정했다. 북한은 5차 당 대회(1970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열린 당 대회에서 김정일 후계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대외선전에 주력했다. 36년 만인 올해 5월 7차 당 대회에서 김정은 체제를 굳건히 하려는 북한은 당시와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985년 4월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방미 때 한미 정상회담 후 언론 발표에서 미국에 ‘호헌 지지’를 해달라고 집요하게 요청했지만 미국은 ‘내정간섭으로 비칠 우려가 있다’며 거절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1985년 미국 하버드대에서 연수 중이던 시절 김대중 전 대통령의 관련 동향을 상부에 보고한 사실도 외교문서를 통해 드러났다. 당시 반 참사관은 하버드대 교수로부터 “미국의 학계와 법조계 인사가 ‘김대중 안전 귀국 요청 서한’을 청와대에 발송할 예정”이라는 첩보를 입수해 상부에 보고했다. 당시 김 전 대통령은 1980년 신군부에 의해 내란음모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몰렸다가 신병 치료를 위한 형 집행정지 후 1982년부터 미국에 머물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