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못해준다던 정부, 8시간만에 ‘한국입국’ 전격공개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8월 18일 03시 00분


[英주재 北공사 한국 망명]靑의중 반영한듯… 선별공개 논란

정부가 태영호 주영 북한대사관 공사의 탈북과 한국 도착 소식을 17일 공개한 것은 그야말로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6시 30분경 기자들에게 ‘저녁 7시 긴급 브리핑이 있다.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고 공지한 뒤 30여 분 만에 “태 공사와 부인, 자녀가 탈북해 한국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앞서 4월 8일 북한 해외식당에 근무하던 여종업원 13명 탈북사실을 공개할 때도 통일부는 이번처럼 ‘오후 4시 30분 브리핑 공지, 오후 5시 발표’라는 전격적인 공개 방식을 활용했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정부는 태 공사 탈북설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는 태도를 보였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오전 10시 30분 정례 브리핑에서 태 공사 관련 질문을 받고 “여러 가지를 고려해 확인해 드리기 어렵다”고 답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도 앞서 16일 “탈북민 관련 제반사항은 탈북민의 신변 안전, 관련국과의 외교 문제 등을 감안해 구체사항을 밝히지 않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통일부가 브리핑한 지 8시간 30분 만에 공식 탈북 확인으로 정부의 태도가 돌아선 데에는 청와대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 대변인은 “국내에 입국했고 관련 사실이 널리 보도가 돼 사실 확인 차원에서 발표하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른 당국자는 “최근 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관련 부처 회의가 상시 열리고 있다”고 말해 다른 의사결정 과정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결과적으로는 태 공사가 북한의 유럽 외교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했고 가족과 동반 탈북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정부가 입맛에 맞는 탈북자만 선별적으로 공개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갑작스러운 발표는 이날까지 ‘노코멘트’로 일관하며 태 공사의 망명 사실에 대한 공식 확인을 거부한 영국 정부의 태도와도 대비된다. 또 태 공사의 망명일, 한국 입국일은 물론 동행 가족의 수도 공개하지 않아 정부가 ‘북한 고위 외교관 탈북’이라는 발표에만 초점을 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정부는 북한 여종업원 집단탈북 공개 당시 논란을 의식한 듯 태 공사 일가족의 사진은 제공하지 않았다.

조숭호 기자 shcho@donga.com
#태영호#탈북#외교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16-08-18 09:37:01

    기자는 통일부의 브리핑에 대해 뭐가 그렇게도 불만인가....차라리 태공사의 안전을 걱정하는 내용이 한줄이라도 있으면 동의하겠는데....모든 내용이 정부의 모든 것이 그냥 싫다 라고만 보입니다. 차라리 북한 고위층의 탈북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대안 제시하기 바랍니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