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이른바 ‘건국절 논쟁’이 ‘역사 전쟁’으로 확산되면서 내년 대선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건국절 논쟁은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경축사에서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이라고 밝힌 대목에서 불거졌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얼빠진 주장”이라고 날을 세웠다.
야권과 진보 진영의 비판이 이어지자 여당도 17일 반격에 나섰다. 새누리당 심재철 국회부의장은 이날 대표·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 “건국절이면서 광복절로서 나라를 되새길 수 있도록 법제화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도 “(야당은) 진영 논리로 대한민국 건국의 의미를 훼손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김용태 의원은 전날 건국 논란과 관련해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도 광복절 경축사 당시 ‘1948년 건국론’을 언급했다. 그렇다면 김, 노 전 대통령도 얼빠진 사람이었느냐”고 반문했다. 더민주당 문 전 대표가 박 대통령을 향해 “얼빠진 주장”이라고 지적한 것을 반박한 것이다.
야권은 이날 정부와 여당을 싸잡아 ‘건국절’ 공세 수위를 높였다. 더민주당 당권 후보인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인하는 뉴라이트의 건국절 주장에 (박 대통령이) 동조한 것을 두고 국민적 비난이 일고 있다”고 주장했다.
건국절 논쟁의 배경은 표면적으론 보수, 진보 진영이 건국 시기를 인식하는 이념적인 온도차에서 비롯된다. 보수 진영은 건국일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제헌국회를 세운 1948년 8월 15일, 진보 진영은 상하이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 4월 11일로 각각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이번 논쟁이 여소야대 국면에서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 여권이 던지는 ‘회심의 카드’라는 해석도 있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이번 정권은 통진당 해산, 전교조 불법화, 역사교과서 국정화 등 국면 전환이 필요할 때마다 이념 논쟁을 들고 나왔고, 대체로 성공을 거뒀다”고 말했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각 진영을 결집하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시각도 있다. 야권 측 관계자는 “양 진영 모두 ‘역사 전쟁’을 통해 내부적으론 계파 갈등 완화, 외부적으론 집토끼를 결집하겠다는 계산 아니겠느냐”고 분석했다.
댓글 38
추천 많은 댓글
2016-08-18 06:09:02
그러면 뒈진 개대징이아 노개 ㅈ의 송장을 꺼내 광화문 광장에서 광복 71주년 기념으로 말복날 개패듯 패대면 되겠네, 거기다 프러스 알파로 문째이니,김상고니,추미애,이쫑거리,박개눈깔 같은 발갱이와 비스므리힌 년놈들도 개죽탕을 치면 금상첨화일테고,
2016-08-18 08:45:38
동아는 제발 문재인 김무성 이종걸 추미애같은 인간들이 주절거릴때 이 인간들의 과거 언행과 비교해서 모순을 왜 비판 안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비판 안하고 잘한것처럼 보도해주니 개나소나 대통령을 비판하는 것입니다
2016-08-18 10:42:58
문가야 김대중 노무현때 그런 소리 했다면 그땐 뭐 했노.히말라야 등산 갔다 왔냐.그때 얼빠진 주장이라 했으면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말조심 하는게 좋겠네.현 정부보고 안보 무능 정부라고 비판 하면서 사드는 반대한다.참이상한 논리구나.저런 사람이 대통령되면 사고속출하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