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농단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최서원으로 개명·60) 씨가 공익 목적으로 대기업들이 자금을 출연해 설립한 K스포츠재단의 자금 일부를 개인 회사로 빼돌린 정황이 31일 확인됐다.
K스포츠재단 관계자는 이날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최 씨 지시로 K스포츠재단이 더블루케이와 두세 건의 용역 계약을 맺었는데 전체 규모가 총 8억 원 정도”라며 “더블루케이가 돈만 받고 용역 결과를 제출하지 않아 사실상 허위 계약”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용역 계약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검찰도 자금 추적 과정 등을 통해 이런 정황을 포착하고 재단 자금을 빼돌린 혐의 등을 최 씨에게 적용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 씨는 K스포츠재단 설립 하루 전인 1월 18일 최측근인 고영태 씨(40)를 이사로 내세워 더블루케이를 설립했다. 최 씨는 더블루케이를 통해 재단의 수백억 원대 자금을 사유화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재단 관계자의 증언이 사실이라면 대기업이 공익 목적으로 288억 원을 출연해 설립한 재단의 자금을 최 씨가 빼돌린 것으로 횡령에 해당한다. 검찰의 수사 결과에 따라 더블루케이가 허위 용역 계약을 맺는 방식으로 빼돌린 횡령 금액이 늘어날 수 있다. 횡령 금액이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일 경우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해진다.
그동안 최 씨와 전국경제인연합회는 K스포츠재단 설립의 순수성, 자발성을 강조하며 자금 유용 의혹에 대해 계속 반박했다. 최 씨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절대 자금 지원을 받은 것이 없다. 감사해 보면 당장 나올 것을 가지고 (돈을) 유용했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적극 부인하기도 했다.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도 “기업들이 지난해 여름부터 논의를 시작해 자발적으로 설립한 재단”이라며 “내 아이디어”라고 강조하다 31일 검찰에서 “안종범 전 대통령정책조정수석비서관의 지시를 받아 모금하게 됐다”고 진술을 번복했다.
이날 K스포츠재단과 더블루케이 간 용역 계약은 확인되지 않았다. 재단 설립을 주도한 정경련도 “양쪽의 용역 거래 내용을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더블루케이 대표를 지낸 최모 변호사, 조모 전 대표도 동아일보에 “이 같은 사실을 전혀 몰랐다”고 밝혔다. 이들은 “더블루케이는 최 씨가 실제 소유주고 자신은 ‘바지 사장’이다”라고 밝힌 인물이다. 현재로선 더블루케이와 K스포츠재단을 수시로 오가며 일했던 K스포츠재단 박모 과장과 고 씨 등 최 씨의 측근이 가짜 계약서를 만들어 자금을 유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이 K스포츠재단과 관련해 최 씨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으며 재단 사업을 챙겼다는 고영태 씨 지인의 증언도 나왔다. 최 씨가 박 대통령에게 K스포츠재단과 더블루케이 거래 내용을 보고했는지 여부도 수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6-11-01 11:06:03
공익재단설립을 구실로 재벌들에게 삥뜯은 막대한 돈을... 당연히 야금야금 쌈짓돈처럼 빼쓸려고 했겠지.. 최씨 자매들 이제까지 끌어당긴 돈만 수천억이라고 하는데~~ 평생 버려도 다 못버리는 돈에 뭔 욕심을 더부리려다 ㅉㅉㅉ... 몇조쯤 모아야 방귀 꽤나 끼는건가???
2016-11-01 09:46:08
검찰 발표인가? 확실해? 그렇지 않고 의혹이면 안믿습니다. 사양합니다. 조선일보 보도지? 송희영 대우조선 망쳐놓다 잡혀 대량상살공격 요란해 믿지 맙시다. 언론 독재, 무소부위는 전국민 대상이라, 일부 신자에 국한된 사이비종교에 비할데 못된다. 사실보도만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