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민심은 ‘대통령의 직접적이고 독점적인 통치를 원하지 않는다’로 요약할 수 있다. 단지 대통령이 일을 못한다는 의미를 넘어 국정 자체에 대한 회의감을 드러내고 있다. 하방 경직성이 높았던 지지율도 핵심 지지층이 산산조각이 나면서 밑바닥까지 추락하고 있다.
불신의 대상이 된 대통령에 대해 유례없이 강경한 입장을 거침없이 표출하고 있다. ‘대통령이 정치활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무려 67%가 동의하고 있다. ‘하야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67.3%가 동조하고 있다. 민심이 얼마나 성나 있는지 보여준다. 안정 희구적 특성의 고령층과 보수 성향층에서는 국정 공백을 우려해 신중한 입장을 보일 만도 하지만 그렇지 않다. 싸늘하다 못해 단호하다.
현 사태 해법으로 거론되는 ‘탄핵’ ‘하야’ ‘거국내각’ ‘책임총리’의 온라인 검색 추이를 보면 ‘하야’가 가장 높다. 초반엔 ‘탄핵’이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검색 빈도가 낮아졌고, 그 대신 ‘하야’가 급증했다. 과거 대통령 탄핵에 대한 학습효과 때문인지 탄핵 검색은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 ‘거국내각’과 ‘책임총리’에 대한 검색 빈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블로그와 트위터에서 ‘나라’의 연관 감성어를 추출해보면 ‘망하다’가 1위, ‘망치다’가 2위로 나타난다. 3위는 ‘개판’이다. 뒤이어 ‘이상한’, ‘망신’이 뒤따른다. 작금의 사태에 대해 특정 개인에 대한 비난 수준을 지나 이 순간 대한민국 국민이라는 것이 부끄럽다는 반응이다.
‘최순실’의 연관 감성어를 살펴보면 ‘의혹’ ‘국정농단’ ‘특혜’ ‘범죄’ ‘국기문란’ 등 부정적 단어들이 뒤덮여 있다. 귀국과 검찰 출석이 늦어지면서 ‘증거인멸’을 우려했고, 누군가의 ‘도움’을 받고 있다는 의심의 시선도 넘쳤다.
들끓고 있는 분노의 파고를 낮추려면 예상을 뛰어넘는 과감한 희생적 조치가 지체 없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간의 조치는 미진할뿐더러 타이밍도 놓치고 있다. 분명한 조치가 제시되지 않으면 대중과 대통령의 충돌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