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한국 방문을 마치고 18일 중국으로 가는 전용기 안에서 수행하는 인디펜던트저널리뷰 기자에게 이 말을 수차례 반복했다. “중국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공동의 전투를 벌여야 한다”며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중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틸러슨 장관이 이날 인터뷰에서 “(북핵) 상황 전개에 따라 미국이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허용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것도 이런 상황 인식과 관련이 있다. 북한이 미 본토 타격용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핵탄두를 탑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면 그동안 금기시돼 온 한국 자체 핵무장을 허용하는 방안까지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라는 대북 정책의 대원칙을 뒤흔드는 모험을 감수해야 할 정도로 북한의 핵 위협이 심각해졌다는 뜻이다.
틸러슨 장관은 17일 오후 비무장지대를 방문하면서 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도 “한반도의 핵무장 가능성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우리는 관점을 바꾸고 있다. 어떤 것도 테이블에서 내려놓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한일 핵무장 허용론은 선제 타격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발신하는 다른 군사적 대북 옵션처럼 대중, 대북 압박 차원이라는 해석이 아직은 더 많다. 실제로 이 같은 조치를 취하겠다기보다는 그럴 수도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계속 던짐으로써 중국과 북한이 느끼는 압박감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일본, 한국에 이어 18일 중국에 도착한 틸러슨 장관은 19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을 예방했다. 북핵이나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 등에 대해 구체적인 대화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은 “양국의 공동 이익이 의견 차이보다 월등히 크기 때문에 합작만이 쌍방의 유일한 선택”이라며 양국 관계의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시 주석은 틸러슨 장관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환영한다며 초청 의사를 밝혔다. 이에 틸러슨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정상회담을 기대하고 있으며 기회가 있으면 중국을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화답했다.
하지만 전날 열린 틸러슨 장관과 왕이(王毅) 외교부장의 회담은 북핵 해법을 놓고 양측의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났다. 외교장관 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왕 부장은 “미중 간 이견이 존재하는 것은 정상이며 중국 측은 사드 문제에 대한 원칙과 입장을 표명했다”고만 밝혔다. 틸러슨 장관은 사드와 관련해 아무런 언급도 하지 않았다.
틸러슨 장관은 “20여 년간 우리가 (북한과 대화하고) 노력했으나 북핵 위협을 중단시키지 못했다”고 대화의 한계를 지적했지만, 왕 부장은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견지하고 이를 재천명한다”고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양측의 담판은 다음 달 초 미국에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으로 넘어가게 됐다. 세컨더리 보이콧(제3자 제재) 등 미국의 대중 압박 수단들은 가장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질 대목이다. 틸러슨 장관은 18일 회견에서 “공동 노력을 통해 북한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해 대북 제재 이행에 미온적일 경우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감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틸러슨 장관은 17일 한미 외교장관 회담 후 한국 측의 만찬을 거절했다는 주장에 대해 인디펜던트저널리뷰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우리를 초대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이어 “그들(한국)의 입장에서 (나와 만찬을 하지 않은 게) 대중에게 좋게 보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에 내가 ‘피곤해서 만찬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며 “한국이 거짓말을 했다는 게 아니라 그렇게 설명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논란이 계속되자 외교부 당국자는 “의사소통에 혼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틸러슨 장관이 인터뷰에서 “일본은 ‘가장 중요한 동맹국’이며 한국은 ‘하나의 중요한 파트너’”라고 차별해서 말한 것을 놓고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한미 외교부 관계자는 “틸러슨 장관이 미일 관계와 한미 관계에서의 불균형은 없다고 했다. 전체 맥락상 ‘동맹’이냐, ‘중요 파트너’이냐에 의미를 부여할 게 아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