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측은 20일 북한 ‘주적(主敵)’ 개념 논란과 관련, “군사적 대치에 의한 적의 개념과 정치적 국가경영의 입장에서 보는 북한을 구별하지 않는다면, 모든 국민들이 생각하는 ‘북한은 통일의 대상’이라는 부분에 대해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라고 맞섰다.
박광온 문재인 캠프 공보단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유승민 후보가 ‘주적개념이 국방백서에 들어있다’고 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박 공보단장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도 국방백서에는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 ‘적’ 이렇게 표현되어 있지 주적이라고 표현되지 않고 있다”며 “만약 반드시 주적이라고 표현했어야 했다면 유승민 후보가 국방위원장이었던 시절에, 그때 그 문제에 대해 남다른 관심을 가지고 추진했어야 일관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최근 이명박 정부, 또는 그 뒤 정부 국방장관들조차도 주적이라는 개념을 스스로 표현을 하지 않는다”면서 “군인들에게 교육을 할 때는 주적 개념을 설명하지만, 대외적, 외교적인 자리에서는 주적개념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2010년 김태영 국방장관의 발언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짚었다.
박 공보단장은 “주적개념에 대해서 그동안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군사적으로 북한과 전쟁을 했고, 현재도 종전이 아닌 휴전 상태”라면서 “그런 점에서 북한과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북한이 적인 것은 맞다. 적이 아니면 무엇이겠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동시에 우리 헌법 4조는 북한은 평화통일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렇게 북한을 보는 시각은 다분히 다층적이고, 여기서만 봐도 이중적”이라며 “이 사실을 정치 지도자가 무시한다면 국가를 경영할 철학과 자질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공보단장은 “그래서 이 문제는 안보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거의 색깔론에 가까운 정치공세”라며 유 후보를 향해 “국가경영 지도자로서 심각하게 자질을 갖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국방부 장관에게 적의 위협에 대응한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도발하면 단호히 응징하도록 지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