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전격 배치된 성주, ‘1조 규모 보상책 지원’…“면피용에 불과”

  • 동아닷컴
  • 입력 2017년 4월 26일 11시 46분


사진=성주군 성주골프장(동아일보DB)
사진=성주군 성주골프장(동아일보DB)
한미당국이 26일 사드(THAAD·고도도미사일방어체계) 장비를 경북 성주군에 전격 배치한 것과 관련, 성주군에 대한 정부의 ‘보상책’ 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달 초 성주군에 따르면, 행정자치부와 국방부, 성주군은 협의를 거쳐 사드 배치에 따른 지원 사업을 확정했다.

지원 사업에는 ▲대구~성주 간 고속도로 건설(8000억 원) ▲대구~성주 간 경전철 건설(5000억 원) ▲대구~성주 간 국도 30호선 교통환경 개선사업 지원(120억 원) ▲성주군 초전면 경관 정비와 전선 지중화 사업 지원(25억 원) ▲성주참외 군부대 납품 ▲제3하나원 건립 우선 지원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관광자원 개발 ▲풀뿌리 기업 육성 등 총 9개 보상책이 마련됐다.

성주군 측은 “성주 발전을 100년 앞당길 첫걸음이 시작됐다”며 “앞으로 계획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정부지원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경범 김천시 사드배치 반대 대책위원회(사드대책위) 부위원장은 이 지원사업들이 ‘면피용’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26일 SBS 라디오 ‘박진호의 시사전망대’에서 “(정부 지원 사업들은) 실제 SOC상에 계획들이 다 있는 것들이었다”며 “그 계획을 발표한 수준이었으니, 이번 건에 대해 (성주군) 군수가 주민들에게 면피용으로 써먹은 것”이라고 꼬집었다.

앞서 박경범 부위원장은 지난 13일 한겨레 신문에 “성주가 정부 지원을 약속받았다고 발표한 내용을 봤는데, 대부분이 도로 건설 등 이미 추진하는 사업이고 사드 때문에 특별히 지원받는 것은 없어 보인다”고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성주군수가 ‘언론플레이’로 주민들을 현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군은 26일 0시부터 4시간여 만에 사드 발사대 6기, 사격통제레이더, 요격미사일 등 장비 대부분을 성주골프장 부지에 반입했다. 사격통제 레이더는 해체하지 않고 완성품으로 들여왔다.

김은향 동아닷컴 기자 eunhy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