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바른정당을 탈당한 의원 12명은 대부분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시절 김무성 바른정당 공동선대위원장과 가까운 이들이다. 그렇다 보니 유승민 대선 후보 측에선 “김 위원장이 이들의 탈당을 방조한 게 아니냐”는 불만이 터져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이날 사석에서 “마지막까지 유 후보에게 보수 후보 단일화를 설득해 탈당을 막아보려고 했지만 역부족이었다”고 억울함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그는 선대위원장 주재 원외위원장 간담회 직후엔 집단 탈당을 막지 못한 이유에 대해 “소쩍새 우는 사연(말 못 할 사연)이 다 있다”고 했다. 탈당 의원 대부분이 ‘김무성계’로 불린다는 지적에는 “무슨 김무성계냐. 자기가 알아서 (판단)하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이날 탈당한 의원 중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소추위원장을 맡은 권성동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최순실 국정 농단 사건 국정조사특별위원장을 맡은 김성태 의원, 김무성 위원장이 새누리당 대표를 지내던 시절 비서실장을 지낸 김학용 의원 등이 포함돼 있다.
김 위원장을 포함해 공동선대위원장인 주호영 당 대표 권한대행과 정병국 전 대표는 끝까지 당에 남아 대선을 치르기로 뜻을 모았다. 이날 간담회 직후 오신환 대변인은 “남은 국회의원과 원외위원장들 모두 힘을 모아 유 후보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결의했다”고 말했다. 정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한없이 괴로운 이 시간조차 진정한 보수의 가치를 지키는 인고의 과정으로 삼겠다”며 “어렵고 더디고 외롭고 힘들지만 이 길을 가겠다”고 밝혔다.
대선까지 김 위원장과 바른정당 잔류파가 힘을 모으기로 했지만 ‘불편한 동거’가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바른정당에 남은 의원 중 유 후보의 측근은 10명 안팎이다. 3명의 공동선대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도 추가 탈당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바른정당의 한 축인 김 위원장은 측근 그룹을 모두 잃게 된다. 대선 이후 유 후보를 중심으로 바른정당 잔류파가 결집한다면 김 위원장의 입지는 더 좁아질 수 있다.
일각에선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잃게 될 바른정당이 대선 이후 국민의당과 연대를 통해 ‘제3지대’를 구축한 뒤 차기 정부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