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끝난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에 전체 유권자의 26%가 참여했다. 4, 5일 이틀 사이에 무려 1100만 명 넘는 유권자들이 투표장을 찾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국정 공백에 따른 국가적 혼란을 하루빨리 끝내라는 표심의 도도한 물결이었다. 사흘 앞으로 다가온 19대 대선, 사전투표의 열기를 몰아 국민은 자신의 정치적 의사를 담은 한 표를 당당하게 행사해야 할 것이다.
선거운동 막판 가장 조심해야 하는 것이 표심을 왜곡할 수 있는 가짜뉴스와 흑색선전이다. 4일부터 투표용지가 후보자 간 여백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두 종류라는 얘기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퍼졌으나 가짜뉴스로 확인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용지는 후보자 간 여백이 있는 한 가지라며 엄중 조치하겠다고 했지만 가짜뉴스가 이미 SNS를 휩쓸고 지나간 뒤였다. 이번 대선은 SNS 바람을 타고 가짜뉴스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지난 대선 때는 삭제 요청을 한 허위사실이 4000건 정도였지만 이번 대선에는 이미 2만 건을 넘었다.
가짜뉴스와 흑색선전은 SNS로 무심코 퍼뜨리기만 해도 허위사실 공표로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것이 된다. 끼리끼리만 볼 수 있는 네이버 밴드나 카카오 단체대화방이라고 해서 방심할 일이 아니다. 유권자들은 가짜뉴스로 의심되는 글이 뜨면 곧바로 선관위에 신고해야 한다. 페이스북은 신뢰도가 낮은 게시물의 노출순위를 낮추고 가짜뉴스를 퍼뜨리기 위해 만든 가짜계정을 차단하는 조치를 4일부터 한국에 적용했다. 네이버와 카카오톡도 이런 조치에 적극 동참해야 할 것이다.
유권자들은 어느 후보 측이 흑색선전과 막말에 앞장서는지 눈 밝게 살필 때다. 더불어민주당은 ‘안철수는 갑철수’ 구절이 들어간 네거티브 지침 문건을 만들었다 들통 났다. 국민의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의 친척이 고용정보원에 특혜 채용됐다고 주장했다가 사과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언론사 사장과 보도본부장의 목을 다 잘라야 한다는 식의 막말을 서슴지 않았다. 선거 과정이 깨끗해야 패자도 결과에 승복할 수 있는 법이다. 남은 선거운동 기간 불미스러운 일이 없도록 각 후보 측은 물론 유권자도 자중할 필요가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