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이후 청와대의 관심은 시진핑(習近平·사진)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 쏠리고 있다. 미국과 대북·외교 정책의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이는 거꾸로 대중 관계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3일 정부 관계자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처음 조우하겠지만, 이와 별도로 양국 간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G20 정상회의는 7일(현지 시간)부터 이틀 동안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린다. 문 대통령은 5일 출국한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문 대통령과 시 주석 간 정상회담은 어렵지 않게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5월 11일 시 주석과 통화를 했고, 당시 시 주석은 “이른 시일 내에 만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양국 정상회담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등에 대한 중국 측의 불만이 반영된 것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중 관계가 사드만이 전부는 아니다”라며 “(시 주석과 만나면) 중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설득하면 궁극적으로 사드를 배치할 이유가 없다는 점과 대북 대화의 필요성 등을 전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함께 3국 정상회담 및 만찬을 갖는다. 한미 동맹 관계를 재확인한 문 대통령 앞에 중국, 일본 등 인접국과의 외교 현안을 풀어가야 할 과제가 놓여 있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