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비롯한 중국, 네덜란드 등 8개국 14개 단체가 공동으로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실패했다. 분담금을 무기로 유네스코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일본 정부의 방해를 이겨내지 못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31일 유네스코는 홈페이지에 올린 공지를 통해 우리 측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과 일본에서 신청한 ‘위안부와 일본군 군율에 관한 기록’ 등에 대해 “대화를 위해 등재 보류 권고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일본군 군율에 관한 기록은 위안부가 합법적으로 운영됐다는 내용을 담은 자료로 일본의 우익 단체에서 신청한 것이다.
반면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은 일제가 저지른 만행을 낱낱이 알려주는 피해자의 증언 기록을 비롯해 위안부 운영 실태를 증명할 사료와 위안부 피해자 조사·치료 기록, 피해자 지원 운동 자료 등 2744건으로 구성됐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0월 분담금 납부를 연기하며 본격적으로 등재 저지에 나섰다. 일본의 유네스코 분담금은 최근 탈퇴를 선언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10%가량을 차지한다. 일본의 방해는 지난달 24일부터 나흘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IAC) 제13차 회의까지 이어졌다. IAC는 당초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에 대해 “피해자들이 용기를 내서 발언했고, 이를 바탕으로 진상 규명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유일하고 대체 불가능한 자료’”라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일본의 공세에 시달린 IAC는 등재 심사를 보류하는 권고안을 유네스코에 전달했고, 이 과정에서 내년도부터 시행 예정인 “유네스코는 이해 당사국 간에 역사 인식이 다를 경우 심사를 보류한다”는 제도 개혁안을 앞당겨 적용해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분석됐다.
(등재 신청을 주도한) 국제연대위원회는 즉각 반발했다. 연대위는 31일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 다른 나라들과도 연대해 일본 정부가 자행한 유네스코에 대한 부당한 압력 행위를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안부 기록물과 같이 등재를 신청한 조선통신사 기록물과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됐다. 이번에 3건이 추가로 등재되면서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16건으로 늘어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