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를 표류하던 북한 어민 3명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나 부산으로 오던 러시아 상선에 극적으로 구조돼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 한국 당국이 이들의 부산항 입항을 거부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본보는 13일 북한 어민들이 처해 있던 긴박한 상황과 이들의 구조 장면이 담긴 동영상을 단독 입수했다. 러시아 상선이 11일 오후 4시경 촬영한 이 동영상 속 생존 어민 3명은 물에 완전히 잠긴 목선의 앞쪽에 앉아 하체가 바닷물에 다 잠긴 채 추위에 떨고 있었다. 러시아 상선이 밧줄이 달린 구조장비를 내려 보내자 어민들은 사망한 동료의 시신부터 배에 올려 보냈다. 당초 이 배에는 4명이 타고 있었지만 한 명은 추위를 이기지 못하고 사망한 것이다.
러시아 상선은 생존자 3명과 목선을 견인한 뒤 입항 예정지인 부산에 구조 동영상을 전송하면서 “구조한 북한 어민을 부산에 태워 가도 괜찮나”라고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상선 측이 한국 관계당국에 구조 동영상을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 한 관계자는 “한국 관계당국이 부정적인 답변과 함께 ‘선사가 알아서 처리하라’고 대답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에 러시아 상선은 배를 돌려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가 북한 어민들을 내려놓고 13일 저녁 도착 예정으로 부산으로 출발했다는 것이다.
부산 해경은 “러시아 상선에 구조된 선원들이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고 북한 측과 연락이 닿지 않자 선주 측이 회항을 지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 어선이 표류하다 떠내려가는 일본 해상에선 올해 80건 이상의 목선이 발견돼 기존 기록을 경신했다. 표류 선박에서 발견된 시신도 60구가 넘는다. 특히 11월에는 같은 기간 역대 최다인 28건이 발견됐다.
올해 북한 어선 표류가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나 역대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은 대북 제재로 식량난 등에 직면한 북한 당국이 수산업을 크게 독려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올해 신년사에서 “수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인민 생활 향상에서 더 큰 전진을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당국의 무리한 독려로 어민들은 구조장비나 통신시설도 갖춰지지 않은 불과 5∼6m 길이의 목선을 타고 한겨울 먼바다에 나가 ‘죽음의 어업’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