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베이징에서 충칭으로 이동하기 전 프레스센터를 직접 찾아 기자들과 만나 중국 경호원의 ‘기자 폭행’ 사건과 관련해 “불미스러운 일도 있었는데 수고 많으셨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관계자도 진상 조사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나 사건의 파문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반중(反中) 기류 확산과 함께 여권 일각과 문 대통령 일부 지지층에선 기자들을 폄훼하며 폭행 사건의 책임을 기자들에게 돌리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날 청와대 홈페이지 청원게시판에는 ‘해외순방 기자단 해체 요구’ 등의 글이 잇따랐다. 실제로 기자들의 무리한 취재에 따른 사고였는지, 당시 경호와 중국 공안의 책임은 없었는지 등을 점검해 본다.
①무리한 취재가 원인?=노무현 정부에서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을 지낸 조기숙 이화여대 교수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폭력을 써서라도 일단 막고 보는 게 경호원의 정당방위”라며 기자들의 무리한 행동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폭행 사태가 일어난 14일 한중 경제·무역파트너십 행사 당시 사진기자들의 취재 동선은 현장 경호팀과 사전 조율됐다. 이 행사의 취재를 맡은 사진기자는 폭행을 당한 한국일보와 매일경제를 포함해 4명. 청와대는 대통령 행사를 취재하기 위해 기자들과 협의해 취재 순번을 정하고 ‘근접취재 비표’를 받은 기자들만 대통령 동선에 따라 취재한다.
이들 사진기자 4명은 문 대통령이 도착하기 이미 한 시간 전 행사장인 베이징 ‘국제회의중심’에 도착해 청와대 의전비서관실, 경호팀과 취재 위치를 조율했다.
물론 행사장 내 갑작스러운 상황으로 대통령 안전에 위험이 생길 수 있다고 판단하면 취재를 제한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측 경호원들은 사진기자들과 동행하던 청와대 직원들이 신분을 밝히며 기자들이 취재할 수 있도록 요구했는데도 이를 제지하고 폭행을 했다.
②폭행 당시 한국 경호팀은 어디에?=행사장에는 중국 측 공안, 경호원과 함께 대통령 경호처 직원들이 있었다. 하지만 중국 경호원 15명이 사진기자에게 집단 린치를 가하는데도 한국 경호팀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경호팀은 대통령 동선 곳곳에 배치된다. 경호처 관계자는 “이미 다른 전시장으로 이동한 문 대통령을 근접 경호하는 과정에서 대응이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기자에 대한 보호는 경호처 책임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대통령 경호처는 7월 경호구역 내 일반 시민에 대한 보호 의무를 명확히 하는 내용으로 ‘대통령 등의 경호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다.
③중국 공안 책임은?=중국 외교부 루캉(陸慷) 대변인은 전날 “한국 측이 자체적으로 진행한 행사”라며 중국 공안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폭행 가해자가 KOTRA가 고용한 중국 보안업체 직원일 경우 중국 공안에 직접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것. 해외 순방의 경우 대통령에게 직접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안전구역’ 내 사고는 경호처 책임이지만 그 외 경비구역은 현지 경찰 책임으로 규정된 만큼 중국 측이 책임을 피해가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중국 보안업체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폭행이라고 할 수는 없다. 모두가 서로 밀치는 과정이었다”며 폭행 자체를 부인했다. 폐쇄회로(CC)TV 등을 통해 가해자가 해당 업체 직원인 것을 확인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구체적인 자료는 지금 갖고 있지 않다. 우리 잘못이면 책임지겠다. 하지만 구체적인 상황은 모른다”고 했다.
이 업체는 공안 연루 가능성에 대해선 “불확실하다. 현장이 매우 혼란스러워 구체적으로 누구인지 현재로서는 말하기 어렵다”고 말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댓글 0